맨위로가기

경계선 인격장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계선 인격장애는 정신 의학적 장애의 일종으로,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주요 증상으로는 버림받는 것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과 이에 대한 극단적인 반응,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대인 관계, 자아 정체성의 혼란, 충동적이거나 무모한 행동, 자살 시도 및 자해, 감정의 급격한 변화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DSM-5의 진단 기준에 따라 최소 5가지 이상 충족될 때 진단되며, 유전적 요인, 뇌 기능 이상,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치료 방법으로는 정신 요법이 주로 사용되며, 약물 치료는 동반 질환 관리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계선 성격장애 - 반응성 애착 장애
    반응성 애착 장애는 아동이 주 양육자와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형성하지 못해 사회적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발달 장애로, 결핍된 양육 환경에서 발생하며 억제형과 탈억제형으로 나타나고, 안전한 환경과 긍정적 상호작용 촉진을 통해 치료하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중요하다.
  • 여성과 심리학 -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도한 감정 표현, 타인의 관심에 대한 갈망, 피상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심리 치료, 인지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정신 질환이다.
  • 여성과 심리학 - 팜 파탈
    팜 파탈은 서구 문화에서 유행한 서사적 기법으로, 신화와 역사 속 인물에서 원형을 찾아볼 수 있는 파멸을 초래하는 매혹적인 여성을 의미하며, 영화, 드라마, 만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매력적인 악녀 캐릭터로 나타난다.
  • 인격장애 - 의존성 인격장애
    의존성 인격장애는 정서적, 신체적 욕구 충족을 위해 타인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는 정신 질환으로, 수동성, 관계 종료 시 파괴적인 행동, 책임 회피, 복종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ICD-10에 진단 기준이 제시되어 있고 정신 요법을 통해 치료한다.
  • 인격장애 -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도한 감정 표현, 타인의 관심에 대한 갈망, 피상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심리 치료, 인지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정신 질환이다.
경계선 인격장애
개요
에드바르트 뭉크의 이상화 (1903), 경계성 성격 장애를 가진 것으로 추정
에드바르트 뭉크의 이상화 (1903), 경계성 성격 장애를 가진 것으로 추정
일반 정보
분야정신 의학, 임상 심리학
동의어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성격 장애 – 충동적이거나 경계선형
정서적 강도 장애
히스테리아
히스테리성 성격 – 히스테로이드
부정적 정동성/신경증 성향
증상
주요 증상불안정한 대인 관계, 왜곡된 자아상, 강렬한 정서; 충동성; 반복적인 자살 및 자해 행동; 유기에 대한 두려움; 만성적인 공허감; 부적절한 분노; 해리
합병증자살, 자해
세부 정보
발병 시기초기 성인기
지속 기간장기적
원인유전적, 신경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진단보고된 증상에 기반
감별 진단§ 감별 진단 참고
예방해당 사항 없음
치료행동 치료
약물해당 사항 없음
예후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됨, 광범위한 추적 기간 동안 환자의 45%에서 관해 발생
빈도5.9% (평생 유병률)
사망해당 사항 없음
관련 질병
관련 질환기분 장애, 불안 장애, 섭식 장애, 물질 사용 장애
진료과
진료과정신건강의학과
외부 링크
외부 링크미국 국립 정신 건강 연구소 - 경계선 성격 장애
영국 왕립 정신 의학회 - 성격 장애

2. 정의

경계선 인격장애는 정신 의학적 장애의 일종이다. 경계선(borderline)이라는 말처럼, 극히 변덕스럽고 극단적이다. 타인에 대한 평가가 극과 극을 오가며 감정의 기복이 심하다. 친구나 연인을 사귈 때 급격히 가까워지며 극단적인 친밀감을 갖다가도 어떤 시기에는 상대에게 극단적으로 냉담해지는 식이다.[524] 이처럼 대인관계는 지나친 기대를 가지고 가깝게 접근했다가 곧 실망해서 원망하며 멀리하는 양극단의 양상이 반복되는 증세가 나타난다. 행동은 폭발적이고 예측할 수 없으며 기분의 변화가 심하여 정상적인 기분이었다가 바로 우울해하고 분노하는 등의 상태가 반복적으로 지속되고 자제력이 결여되어 있다. 세상을 극단적인 선과 악으로 이원화하여 생각하기 때문에 종교에 쉽게 빠져드는 경향이 있다.[524]

주요 증상으로는 불안정한 사고나 감정, 행동 및 이에 따른 의사소통 장애, 충동적 행동, 이분법적 사고, 대인관계 장애, 만성적인 공허감, 자기 정체성 장애, 약물이나 알코올 의존, 자해 행위나 자살 기도 등의 자기 파괴적 행동이 있다.[425] 또한 격렬한 분노, 허무함이나 외로움, 버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나 자기 부정감 등, 감정이 쉴 새 없이 변화하고, 게다가 혼재된 감정 조절이 어려우며, 불안과 갈등을 스스로 처리하는 것을 어려워한다.[511]

경계선 인격장애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기분 변화와 강력한 정서적 반응에 대한 조절의 어려움, 작은 거절이나 비판에도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거절 민감성,[529] 극단적인 이상화와 평가절하(idealization and devaluation) 등이 있다. 위험하고 충동적인 행동도 보인다.

기타 증상으로는 개인의 정체성, 도덕, 가치관에 대하여 확실하지 못한 느낌, 스트레스를 받을 때 보이는 편집증적 생각, 이인증(depersonalization), 그리고 심한 경우에는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는 현실과의 단절 혹은 정신증적 삽화(psychotic episodes) 등이 있다.

3. 증상

경계선 성격장애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며,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524]


  • 정서적 불안정: 감정 기복이 매우 심하고, 타인에 대한 평가가 극과 극을 오간다. 급격히 가까워져 극단적인 친밀감을 느끼다가도, 상대에게 극단적으로 냉담해지는 양극단의 양상이 반복된다.
  • 행동의 예측 불가능성: 폭발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행동을 보이며, 기분 변화가 심하여 정상적인 상태에서 갑자기 우울해하거나 분노하는 등 자제력이 부족한 모습이 반복된다.
  • 이분법적 사고: 세상을 극단적인 선과 악으로 나누어 생각하며, 종교에 쉽게 빠져드는 경향을 보인다.
  •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현실이나 상상 속에서 버림받는 것을 피하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하며, 버림받았을 때 극단적인 반응을 보인다. (유기공포)
  •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대인관계: 분열이라고도 불리는 이상화와 평가절하 사이를 오가며,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대인관계를 맺는다.
  • 자의식 혼란: 명백한 자의식 혼란과 자아상의 왜곡을 경험한다.[524]
  • 충동적이고 무모한 행동: 충동적이거나 통제 불가능한 소비, 안전하지 못한 성관계, 약물 남용, 난폭 운전, 폭식 등 충동적이거나 무모한 행동을 보인다.[528]
  • 반복적인 자살 시도 및 자해: 자살 시도나 자해가 반복된다.
  • 만성적인 공허감: 만성적인 공허감을 느낀다.
  • 부적절하고 강렬한 분노: 부적절하고 강렬한 분노를 느끼거나, 분노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다.
  • 자해 행동: 졸업 직전에 중퇴하거나 치료가 잘 진행되는 것을 의논한 후 심하게 퇴행하는 등 자해 행동을 보이며, 강렬한 애정을 느끼는 상대방이 어떠한 요구를 거절하면 심한 분노를 느낀다.
  • 일시적인 편집증적 사고 또는 해리 증상: 일시적으로 스트레스와 관련된 편집형 사고 혹은 심각한 해리 증상을 보인다.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는 작은 거절이나 비판에도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529] 타인에 대한 정서적 공감이 부족하고,[530] 극단적인 이상화와 평가절하를 보인다. 또한 위험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 외에도 자신의 정체성, 도덕, 가치관에 대해 불확실한 느낌을 받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편집증적 생각을 하고, 이인증을 경험하기도 한다. 심한 경우에는 스트레스로 인해 현실과의 단절, 정신증적 삽화를 경험하기도 한다.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가 느끼는 감정은 마치 뉴욕 타임스 스퀘어 광장 한가운데에서 길을 잃은 일곱 살 아이와 같다고 비유할 수 있다.[531] 이들은 자신만이 고립된 듯 불안하고, 혼자라는 사실에 겁을 먹는다. 주변의 우호적인 사람들은 잠시 도움을 주는 존재일 뿐, 곧 떠날 것 같은 행동을 하거나 마음이 멀어진 징조를 보이면 공포에 질려 분노를 터뜨리거나 애원하는 등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약물 남용, 알코올 중독, 식사장애, 위험한 성행위, 과소비, 난폭 운전 등 충동적인 행동은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에게 흔하게 나타난다.[546] 이러한 충동적인 행동은 심리적 고통으로부터 순간적인 안도감을 주지만, 장기적으로는 죄책감과 수치심을 유발하여 악순환을 초래한다.[547]

자해 또는 자살 행동은 경계선 성격장애의 핵심 진단 기준 중 하나이다.[525] 자해는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의 50~80%가 시도하며, 칼을 이용해 신체를 긋는 방식이 가장 흔하게 보고된다.[548] 자살 위험은 3~10% 정도로, 경계선 성격장애를 진단받은 남성이 여성보다 약 두 배 정도 높다.[551][552][553]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묘사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자신의 선호, 가치관, 신념, 즐거움 등에 대해 불확실성을 느낀다.[558] 또한 잦은 격렬한 감정으로 인해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해리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559][560]

경계선 인격장애의 증상 중 하나는 정서적 유기에 대한 강렬한 공포이다.


DSM-5에 기술된 경계선 인격장애는 9가지 뚜렷한 증상으로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 기준 중 최소 5가지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31]

# 실제적이거나 상상적인 정서적 유기를 피하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

#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대인 관계, 종종 이상화와 평가절하의 극단 사이를 오가는 패턴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는 '분열'이라고도 한다.[32]

# 현저한 정체성 장애와 왜곡된 자아상.[25]

# 충동적 또는 무모한 행동, 여기에는 통제할 수 없는 소비, 안전하지 않은 성행위, 물질 사용 장애, 무모한 운전 및 폭식 등이 포함된다.

# 재발하는 자살 사고 또는 자해 행위.

# 급격하게 변화하는 강렬한 정서 조절 장애.

# 만성적인 공허함의 감정.

# 부적절하고 강렬한 분노는 통제하기 어려울 수 있다.

# 일시적이고 스트레스 관련 편집증적 사고 또는 심각한 해리 증상.

3. 1. 정동의 불안정

Affective instability영어은 경계선 성격장애의 핵심 특징 중 하나로, 환경적 자극에 대한 비정상적으로 강렬한 정서 반응과 느린 회복을 의미한다.[534][535] 심리학자 마샤 리네한에 따르면,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은 감정의 민감성, 강렬성, 지속성이 뛰어나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가진다.[527] 이들은 때로는 열정적이고 이상적인 모습을 보이지만,[536] 불안, 우울, 죄책감, 수치심, 분노 등의 감정에 압도되어 슬픔 대신 비통, 가벼운 당혹감 대신 수치와 모욕감, 짜증 대신 분노, 긴장 대신 공황을 경험하기도 한다.[527]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은 거절, 비난, 고립, 실패에 특히 민감하다.[537] 이러한 감정에 대처하기 위해 감정적 고립, 자해, 자살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527] 이들은 자신의 부정적 정서 반응을 자각하지만 통제하지 못하고, 반응을 차단하려 하지만, 이는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은 일시적인 희열감을 느끼면서도 심각한 불안, 불만, 우울감 등을 겪는다. 메리 자나리니 등은 이러한 불쾌감의 특징을 극단적인 정서, 자기파괴적 성향, 파편화된 느낌 또는 자아정체성 결핍, 피해의식으로 분류했다.[538]

이들은 강렬한 감정과 함께 감정 기복이 심한 정서적 불안정(emotional lability영어)을 겪는다. 이들의 감정 기복은 분노와 불안, 우울과 불안 사이를 오가는 불안에 가까운 것이다.[539]

3. 2. 대인관계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는 타인의 행동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친밀한 관계를 갈망하면서도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관계를 맺는 경향이 있다.[524] 이들은 타인에 대한 평가가 극과 극을 오가며, 친구나 연인을 사귈 때 급격히 가까워졌다가도 금세 극단적으로 냉담해지는 등 양극단의 양상이 반복된다.[524]

이들은 친밀한 관계를 절실히 원하지만, 불안정 애착유형, 회피-양가적 애착유형, 혹은 두려움을 느껴 무언가에 몰입하는 몰입형 애착유형을 보인다.[544] 이들은 세상을 위험하고 악의로 가득한 존재로 인식하기도 한다.[540]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들은 다른 사람을 존경하다가도 그 사람으로부터 실망하게 되는 것을 반복하는 이상화와 평가절하 상태를 보인다.[541] 이들은 다른 사람에 대하여 실망하거나, 누군가를 상실하거나, 자신이 높게 평가하는 사람의 시각에서 존경을 잃게 됨을 감지하면, 그 사람에 대한 감정은 존경과 사랑에서 분노와 혐오로 바뀌기도 한다. 이런 현상을 분열이라고도 한다.[542] 이상화와 평가절하는 기분장애와 결합하여 가족, 친구, 동료 등과의 관계를 망치기도 한다.[543]

경계선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타인이 자신을 대하는 방식에 특히 민감하여, 타인이 다정한 모습을 보이면 이를 보고 강렬한 기쁨과 만족을 느끼지만, 타인이 비판하거나 상처를 입히면 슬픔이나 분노를 느낀다.[540]

3. 3. 행동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는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는 약물 남용, 알코올 중독, 식이 장애, 위험한 성관계, 과소비, 난폭 운전 등이 포함된다.[528] 이러한 행동은 환자가 느끼는 극심한 정서적 고통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결국에는 수치심과 죄책감을 유발하여 악순환을 초래한다.[62] 이 악순환은 정서적 불편함에서 시작하여 충동적인 행동, 수치심과 죄책감, 그리고 다시 정서적 고통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반복하며, 충동적인 행동에 대한 강박적 행동을 심화시킨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충동적인 반응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자동적인 대처 기제가 될 수 있다.[62]

3. 4. 자해와 자살

자기-해 및 자살 행동은 DSM-5에 명시된 경계선 성격 장애(BPD)의 핵심 진단 기준이다.[14] BPD로 진단받은 개인의 50%에서 80%가 자해를 하며, 그 중 자해가 가장 흔한 방법이다.[63] 멍들게 하기, 화상, 머리 부딪히기, 물어뜯기 등 다른 방법도 흔히 사용된다.[63] BPD를 가진 개인은 자해 행위 후에 감정적 안도감을 느낄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64]

BPD를 가진 개인의 평생 자살 위험 추정치는 3%에서 10% 사이이며, 조사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65][52][66] 자살로 사망하는 남성의 상당수가 진단받지 않은 BPD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67]

BPD를 가진 개인의 자해 및 자살 시도 동기는 다양하게 보고된다.[68] BPD를 가진 개인의 약 70%는 생을 마감할 의도 없이 자해를 한다. 자해 동기에는 분노 표현, 자기 처벌, 해리 에피소드에 대한 반응으로 정상적인 감정 또는 정상적인 감정 유발, 감정적 고통이나 어려운 상황으로부터의 주의 분산 등이 있다.[68] 반면, BPD를 가진 개인의 진정한 자살 시도는 종종 다른 사람들이 자신이 없을 때 더 나아질 것이라는 생각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68]

3. 5. 자의식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묘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자신의 선호, 가치관, 신념, 즐거움 등에 대해 불확실성을 느끼며, 자아상의 왜곡을 경험한다.[524] 이는 명백한 자의식(sense of identity) 혼란으로 이어진다.

3. 6. 인지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는 잦은 격렬한 감정으로 인해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해리 경향을 보일 수 있다.[524] 일시적으로 스트레스와 관련된 편집형 사고(paranoid ideation) 혹은 심각한 해리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524] 스트레스를 받을 때 편집증적 생각을 하거나, 심한 경우 현실과의 단절, 정신증적 삽화(psychotic episodes)를 경험하기도 한다.[524]

3. 7. 정신병적 증상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는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병적 삽화(psychotic episodes)와 같은 증상을 겪을 수 있다.[531]

3. 8. 관계 태업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는 증상이 심각하지 않고 적절한 직업을 가지고 있으면 일을 할 수 있지만, 증상이 심각해지면 관계 태업에 들어갈 수 있다. 관계 태업은 위험한 행동이나 강렬한 분노를 유발하여 업무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524] 이들은 졸업 직전에 중퇴하거나 치료가 잘 진행되는 것을 의논한 후 심하게 퇴행하는 등 자해 행동을 보이며, 강렬한 애정을 느끼는 상대방이 어떠한 요구를 거절하면 심한 분노를 느낀다.[524]

4. 원인

경계선 성격장애의 원인은 다른 심리장애와 마찬가지로 복잡하고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연구자들은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데는 대체로 동의하지만, 그 외에도 선천적인 뇌 기형, 유전, 신경생물학적 요소, 환경 요소 등 다양한 원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78]

사회적 요소로는 초기 발달 과정에서 가족, 친구, 다른 아동들과의 상호작용이 포함되며, 심리적 요소로는 개인의 성격, 기질, 스트레스 대처 능력 등이 환경에 의해 형성되어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은 경계선 성격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이 여러 가지임을 시사한다.[78]

경계선 인격장애의 원인은 다면적이며, 단일 원인으로 설명하기 어렵다.[78] 아동기 외상은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뇌 이상, 유전학, 신경생물학, 비외상성 환경 요인 등의 역할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78][80]

4. 1. 유전적 요인

경계선 인격장애(BPD)는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에 따르면 경계선 인격장애의 유전율은 약 40%로 추정된다.[562] 이는 경계선 인격장애 발현의 40% 정도가 유전적 변이로 설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쌍둥이 연구에서도 유전적 요인이 경계선 인격장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563] 비록 가족 환경 요인 때문에 유전적 효과가 과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563] 쌍둥이 연구자들은 경계선 인격장애가 다른 성격장애 유형 A군 질환보다 유전적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고 보았다.[564] 또한, 경계선 인격장애는 조사된 10가지 성격 장애 중 세 번째로 유전율이 높다.[564]

네덜란드에서 711쌍의 쌍둥이와 561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9번 염색체가 경계선 인격장애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566] 연구자들은 유전적 요인이 경계선 인격장애의 개인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결론지었다.[566] 이 그룹의 이전 연구 결과에 따르면 BPD 특징 변동성의 42%는 유전자에 기인하며, 나머지 58%는 환경적 요인에 기인했다.[566]

2012년 연구에서는 11번 염색체 도파민 수용체 D4의 7가지 다형질이 부적절한 애착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으며,[567] 5번 염색체와도 관련성이 보고되었다.[568]

이처럼 경계선 인격장애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4. 2. 두뇌 기형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의 뇌에서는 감정 조절과 관련된 영역에 이상이 발견된다. 뇌신경영상학 연구에 따르면 해마, 안와전두피질, 편도체 등 스트레스 반응과 감정 조절에 관여하는 뇌 영역의 부피가 감소되어 있다.[569] 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뇌 영역에서 신경대사물질의 변화를 확인하기도 했다.[570] 또한, 좌우 양쪽 보조운동영역, 치상회, 좌우 양쪽 쐐기앞소엽 등에서 회색질이 증가하며, 이는 좌우 양쪽 후방대상피질까지 영향을 미친다.[571]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의 해마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환자처럼 크기가 줄어들어 있지만, PTSD 환자와는 달리 편도체 또한 작아져 있다.[572] 이러한 뇌의 비정상적인 활동은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이 경험하는 강렬한 공포, 슬픔, 분노, 수치심 등이 비정상적으로 강하고 오래 지속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573]

2003년 캐나다 토론토대학교의 앤서니 루오코(Anthony Ruocco)는 경계선 성격장애의 감정조절장애를 일으키는 두 가지 뇌 활성도 유형을 제시했다. 감정적 고통이 고조되는 뇌 회로 활성도가 증가하고, 고통스러운 감정을 조절하거나 억제하는 뇌 회로 활성도는 저하된다. 이 두 신경망은 변연계에서 기능 부전을 보이지만, 구체적인 관련 영역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594]

초기 연구와 달리, 경계선 성격장애 중증 환자는 부정적 정서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편도체 활성화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595] 『Biological Psychiatry』지의 편집인 존 크리스탈(John Krystal)은 이러한 결과가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이 정서적으로 격렬한 삶을 살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595]

4. 2. 1. 신경생물학

경계선 성격장애는 유년기 트라우마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여러 정신병적 진단들은 유년기에 발생한 트라우마 경험들과 관련되어 있다.[575] 특히,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 축)의 기능 부전과 비정상적인 코르티솔 수치가 유년기 트라우마를 경험한 환자들에게서 관찰된다.[575] HPA 축은 신체가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며, 아동 학대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575]

신체가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시상하부의 실방핵에서 아르기닌 바소프레신(AVP)과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CRF)가 방출된다.[575] 이 펩타이드들은 부신피질자극세포를 자극하여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방출로 이어진다.[575] ACTH는 부신피질 내부의 수용체와 연결되어 코르티솔 분비를 자극한다.[575]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는 HPA 축이 항진되어 코르티솔 생성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577] 이는 생물학적 스트레스 반응을 더 크게 만들어 자극 감수성에 취약하게 만든다.[578] 트라우마 사건들이 코르티솔 생성과 HPA 축의 활동성을 증가시키므로,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에게서 평균 이상의 HPA 축 활동성이 나타나는 것은 유년기와 성숙기에 경험한 트라우마 사건들이 평균 이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반영할 수 있다.[579]

뇌신경영상학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반응과 감정 조절에 관여하는 해마, 안와전두피질, 편도체가 감소된 것을 발견했다.[569] 일부 연구에서는 핵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하여 특정 뇌 영역에서 N-acetylaspartate(NAA), 크레아틴, 글루타메이트, 콜린 관련 복합체와 같은 신경대사물질의 변화를 찾아냈다.[570] 좌우 양쪽 보조운동영역, 치상회, 좌우 양쪽 쐐기앞소엽 등에서 회색질이 증가했으며, 이는 좌우 양쪽 후방대상피질에도 영향을 미친다.[571] 환자들의 해마는 PTSD 환자처럼 줄어들어 있지만, PTSD 환자들과 달리 편도체도 줄어들어 있다.[572]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는 정서적 각성을 조절하는 전전두엽피질이 상대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어 감정과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574]

4. 2. 2.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HPA 축)

경계선 성격장애는 유년기 트라우마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여러 정신병적 진단과 연관되어 있지만, 특정 신경생물학적 요소들이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에게서 발견된다.[575]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 축)의 기능 부전과 비정상적인 코르티솔 수치는 유년기 트라우마를 경험한 환자에게서 검사되었으며, 공식적으로는 경계선 성격장애로 진단되었다.[575] HPA 축은 신체가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능이 있으며, 아동 학대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575]

신체가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시상하부의 실방핵에서 펩타이드성 아르기닌 바소프레신과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를 방출한다.[575] 이 펩타이드들이 온몸을 돌면, 부신피질자극세포를 자극하여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방출로 이어진다.[575] ACTH는 부신피질 내부의 수용체와 연결되어 코르티솔 분비를 자극한다.[575] 무기질 대사 부신피질호르몬 수용체와 저친화성 수용체인 세포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아류형이 다른 신체 영역에서의 코르티솔 영향을 완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75] 전자는 코르티솔에 고친화성이고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고포화성이지만, 후자는 코르티솔에 저친화성이고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고농도로 코르티솔과 결합한다.[575] 또한 환자에게서 FKBP5 다형질인 rs4713902와 rs9470079와의 연관성도 있다.[576] 유년기 트라우마를 겪은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는 rs3798347-T, rs10947563-A와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경계선 성격장애와 함께 유년기 신체 학대 및 정서적 유기를 모두 경험한 사람에게서 두드러진다.[576]

HPA 축은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분비되는 코르티솔 생성을 담당한다.[577] 코르티솔 생성은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에게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HPA 축 활동이 항진되어 있음을 시사한다.[577] 이로 인해 이들은 생물학적 스트레스 반응이 더 크며, 이는 자극 감수성에 더 취약한 것을 설명해준다.[578] 트라우마 사건이 코르티솔 생성과 HPA 축의 활동성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고려하면, 경계선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에게서 평균 이상의 HPA 축 활동성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은 유년기와 성숙기에 경험한 트라우마 사건이 평균 이상으로 우세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반영할 수 있다.[579]

4. 2. 3. 에스트로겐

여성 에스트로겐 주기의 개인차는 여성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들의 증상 표출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580] 2003년 연구에 따르면, 월경 주기 동안 에스트로겐 수치 변화를 통해 여성 환자들의 증상을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일반적인 부정적 정동(negative affect) 증가를 대조군으로 하였을 때 이 연구 결과는 유의미하다.[581]

4. 3. 성장 과정

경계선 인격장애의 원인은 복잡하고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연구자들은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데 동의하지만, 그 외에도 선천적인 뇌 기형, 유전, 신경생물학적 요소, 환경 요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78]

사회적 요소로는 초기 발달 과정에서 가족, 친구, 다른 아동들과의 상호작용이, 심리적 요소로는 개인의 성격, 기질, 스트레스 대처 능력 등이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HPA axis)의 기능 부전과 비정상적인 코르티솔(cortisol) 수치는 유년기 트라우마를 경험한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들에게서 발견된다. HPA축은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아동 학대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575] FKBP5 다형질(FKBP5 polymorphism)인 rs4713902와 rs9470079와의 연관성도 발견되었으며, 유년기 신체 학대 및 정서적 유기를 모두 경험한 사람들에게서 rs3798347-T과 rs10947563-A와의 연관성이 두드러진다.[576]

4. 3. 1. 유년기 트라우마

아동 학대, 특히 아동 성폭력은 경계선 인격장애 발병과 강한 연관성이 있다.[582][583][584]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어린 시절 학대와 방임을 경험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그 인과관계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585]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는 양육자로부터 언어적, 정서적, 신체적, 성적 학대를 받았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으며,[586] 초기 유년기에 근친상간이나 양육자 상실을 경험했다고 진술하는 경우가 많다.[587]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대체로 자신의 사고나 감정을 양육자로부터 부정당하였다. 양육자들은 아이에게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거나 아이들의 신체적 양육을 무시하였다. 부모 모두 아이들로부터 정서적으로 멀어졌거나 아이들을 일관적이지 못하게 대하였다.[588] 어머니나 여성 양육자로부터 방치되고 아버지나 남성 양육자로부터 학대당한 경험이 있는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은 비양육자로부터 성적 학대를 경험하였을 가능성이 높다.[589]

초기부터 성장하면서 꾸준히 양육자로부터 제대로 대우받지 못하거나 애착에 문제가 있었던 아이는 경계선 성격장애로 발전하게 된다고 한다.[590] 정신분석학 관련 저술에서 오토 컨버그는 아이가 정신적으로 자아와 타자를 명료하게 구분하는 발달 과업을 달성하지 못하고, 분열을 극복하지 못하면 경계선 성격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고 보았다.[591]

4. 3. 2. 신경학적 유형

경계선 인격장애(BPD) 연구에 따르면, 부정적 정동이라고 하는 강렬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는 경향은 어린 시절 성적 학대 경험보다 BPD 증상을 예측하는 데 더 강력한 요인이다.[100] 이러한 상관관계는 뇌 구조 변화 관찰 및 외상 이력이 없는 사람에게서 BPD가 나타나는 현상과 관련이 있으며,[101] 이는 BPD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같은 장애와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BPD 연구는 발달적, 외상적 요인을 모두 고려한다.

연구에 따르면 BPD의 특징인 정서 조절 장애와 관련된 두 가지 뇌 회로에서 변화가 나타난다. 첫째, 심한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는 것과 관련된 뇌 회로의 활동이 증가한다. 둘째, 이러한 강렬한 감정을 조절하거나 억제하는 회로의 활동은 감소한다. 이러한 기능 부전은 주로 변연계 내에서 발생하지만, 개인차로 인해 이러한 패턴을 자세히 연구하기 위한 추가적인 뇌 영상 연구가 필요하다.[102]

이전 연구 결과와 달리, BPD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부정적 정서 자극에 대한 편도체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ological Psychiatry''의 편집장인 존 크리스탈은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BPD 환자가 본질적으로 부정적이거나 비생산적이지 않은, 정서적으로 격동적인 삶을 살도록 하는 타고난 신경학적 소인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고 언급했다.[102] 이러한 정서적 변동성은 여러 뇌 영역의 불일치와 지속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BPD의 신경생물학적 기초를 강조한다.[103]

4. 3. 3. 무효화 환경

마샤 리네한의 생물사회적 발달 이론에 따르면, 경계선 성격장애는 정서적으로 취약한 아동과 무효화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96] 여기서 정서적 취약성은 아동의 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유전적 요소로 구성된다. 무효화 환경이란 아동의 정서와 욕구가 무시, 조롱, 묵살되거나 좌절되는 상황, 혹은 트라우마나 학대 상황을 뜻한다.[97]

양육자, 또래, 혹은 권위 있는 인물로부터의 무효화 경험은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개인이 자신의 감정과 경험의 타당성에 대해 의문을 품게 만들 수 있다. 이는 감정 조절의 어려움을 심화시키고, 무효화, 고통, 부적응적 대처 방식의 악순환을 초래한다. 지속적인 감정 무시나 비판은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개인이 고통에 대처하기 위해 자해, 약물 남용, 충동적 행동과 같은 파괴적인 행동에 의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경계선 성격장애에 대한 부정적 낙인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98]

4. 3. 4. 임상적 및 문화적 관점

인류학자 레베카 레스터(Rebecca Lester)는 경계선 인격장애(BPD)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을 제시한다. 하나는 BPD를 "성격의 기능 장애"로 보는 임상적 관점[99]이고, 다른 하나는 BPD를 "사회적 규제의 메커니즘"으로 보는 학문적 관점[99]이다. 레스터는 BPD를 관계와 의사소통의 장애로 본다. 즉, BPD를 가진 사람은 자신의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와 문화 내에서 타인과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데 필요한 의사소통 기술과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이다.[99]

레스터는 BPD에 대한 문화적 관점과 임상적 관점 사이의 구분을 다룰 때 양자 물리학의 입자-파동 이중성 비유를 제시한다. 입자-파동 이중성과 마찬가지로, 입자 같은 질문을 하면 입자 같은 답을 얻을 것이고, 파동 같은 질문을 하면 파동 같은 답을 얻을 것이다. 레스터는 BPD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주장한다. BPD의 존재에 대해 문화 기반의 질문을 하면 문화 기반의 답을 얻을 것이고, 임상적 성격 기반의 질문을 하면 성격 기반의 관점을 강화할 것이다. 레스터는 두 관점 모두 유효하며, 문화적으로 그리고 개인적으로 BPD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함께 작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99]

이러한 맥락에서 레스터는 BPD 진단에서 여성의 비율이 남성보다 높은 것은 페미니즘적 주장에 부합한다고 주장한다. 여성의 BPD 진단이 높은 것은 여성이 희생되는 문화에서 예상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BPD는 문화적 현상으로 간주된다. 이는 BPD와 관련된 행동이 무가치함과 거부를 강화하는 환경에서 생존한 경험의 결과로 학습된 행동으로 간주될 때 이해할 수 있다. 레스터에게 이러한 생존 기술은 인간의 "회복력, 적응력, 창의성"을 입증한다. 따라서 BPD와 관련된 행동은 본질적으로 인간적인 반응이다.[99]

4. 3. 5. 실행 기능

거절 민감성이 높은 것은 경계선 인격장애 증상이 더 강하다는 것과 관련있으나, 실행 기능은 거절 민감성과 경계선 인격장애 증상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보인다.[597]계획 수립, 작업 기억, 집중, 문제 해결 등의 인지 과정은 하나의 기제로서, 이를 통해 거절 민감성이 증상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2008년 한 연구에서는 집행 기능이 낮을 때 거절 민감성과 경계선 인격장애 증상의 관계는 강화되고, 집행 기능이 높을 때 이들의 관계는 약해진다고 하였다.[598] 이는 높은 집행 기능이 증상에 대한 높은 거절 민감성을 가진 사람을 보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599]

4. 3. 6. 가정 환경

가정 환경은 아동 성학대가 경계선 인격장애 발달에 주는 효과에 영향을 준다. 불안정한 가정 환경은 경계선 성격장애를 야기하지만, 안정된 가정 환경은 장애의 가능성을 낮춘다. 안정된 환경이 장애로 발전하는 것을 완충한다고 볼 수 있다.[601]

4. 3. 7. 자기 복잡성

자기복잡성(자기복합성 혹은 자기다양성, self-complexity)은 하나의 자아에 여러 특성들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602] 이는 현실 자기(actual self)와 자신이 원하는 자아상(desired self-image) 간의 불일치를 줄여준다.[602] 높은 자기복합성을 지닌 사람은 보다 양질의 특성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특성을 원한다.[602] 만약 특성을 한 개인이 과거부터 지금까지 노력을 통하여 취득해 온 것들이라고 생각한다면, 특성은 개인이 사고를 통하여 규정한 추상적인 자질이 아니라 체험해 온 사례들이 된다.[602] 자아를 규정하는 기준(norm)이란 것도 그것을 상징하거나 대표하는 다양한 속성들(attributes)을 하나하나 묘사할 필요가 없다.[602] 이 기준을 인식하는 과정도, '~처럼 되어 보는 것(being like)', 혹은 자아가 실제로 경험함으로써 타자나 대상과 맺는 관계를 이해한다는 것이지, 자아가 가지고 있는 속성을 추상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602]

4. 3. 8. 사고 억제

2005년 연구는 사고 억제, 즉 특정한 생각을 의도적으로 하지 않으려는 시도는 정서적 취약성과 경계선 성격장애 증상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603] 이후 연구에서는 정서적 취약성과 경계선 성격장애 증상이 사고 억제를 통해서만 매개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연구는 사고 억제가 경계선 성격장애 증상과 비수인적 환경(invalidating environment)과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604]

5. 진단

경계선 인격장애(BPD) 진단은 정신 건강 전문가가 시행하는 임상 평가를 기반으로 한다.[551] 이 평가는 환자의 증상 보고와 전문가의 관찰을 종합하여 이루어진다.[606]

일반적으로 심리적 평가는 환자에게 증상의 시작과 심각성, 그리고 증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질문한다. 자살 생각, 자해 경험, 타인을 해치려는 생각 등 특정 사고에 대한 질문도 포함된다.[606]

진단 과정에서는 갑상선 질환이나 약물 남용과 같이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체력 검사나 연구소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다.[527]

최선의 진단 방법은 환자에게 장애 기준을 제시하고, 이 기준이 자신을 정확하게 설명하는지 묻는 것이다.[551] 환자가 진단 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장애를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551]

일부 전문가들은 장애에 대한 오해나 치료 불가능하다는 편견 때문에 환자에게 진단명을 알려주지 않기도 한다. 그러나 환자가 자신의 진단을 알면 다른 사람들도 비슷한 경험을 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551]

국제질병분류 ICD-10은 경계선 인격장애를 "감정적으로 불안한 인격장애"로 정의하고 유사한 진단 기준을 제시한다.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는 이전 판과 동일한 명칭을 유지한다.[525]

5. 1. DSM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에서는 경계선 인격장애를 대인관계, 자기상, 정동의 불안정성 및 충동적인 행동의 광범위한 패턴으로 정의한다.[607] DSM-5는 9가지 진단 기준을 제시하며, 이 중 5가지 이상을 충족하면 경계선 인격장애로 진단한다.[31]
DSM-5 진단 기준:1. 실제적이거나 상상적인 정서적 유기를 피하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

2.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대인 관계, 이상화와 평가절하의 극단 사이를 오가는 패턴(분열).[32]

3. 현저한 정체성 장애와 왜곡된 자아상.[25]

4. 충동적 또는 무모한 행동.

5. 반복적인 자살 사고 또는 자해 행위.

6. 급격하게 변화하는 강렬한 정서 조절 장애.

7. 만성적인 공허함.

8. 부적절하고 강렬한 분노, 통제하기 어려움.

9. 일시적이고 스트레스와 관련된 편집증적 사고 또는 심각한 해리 증상.

경계선 인격장애는 대인 관계와 자아상의 불안정성, 타인에 대한 이상화와 평가절하의 반복, 급격한 기분 변화와 정서 조절의 어려움이 특징적이다. 위험하고 충동적인 행동도 흔히 동반된다.

추가 증상으로는 정체성, 가치관, 도덕, 신념의 불확실성,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편집증적 사고, 탈인격화, 심한 경우 현실 이탈 또는 정신병적 에피소드가 나타날 수 있다.

5. 2. ICD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0에서는 경계선 인격장애와 유사한 상태를 '감정상 불안정 인격 장애(Emotionally unstable personality disorder)'로 정의한다.[610] 여기에는 충동형과 경계선형 두 가지 하위 유형이 있다.

충동형은 감정적 불안정성과 충동 조절 부족이 특징이며, 경계선형은 추가로 자기상, 목표, 내적 선호의 혼란 및 불확실성, 강렬하고 불안정한 대인관계, 자해 위협이나 행동, 만성적인 공허감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611]

ICD-10은 인격장애로 판단되는 일반적인 기준도 제시하고 있다.

5. 2. 1. ICD-11

세계 보건 기구(WHO)의 ICD-11에서는 인격 장애 부분을 전면적으로 개정하였다. 경계선 인격장애(BPD)는 ''성격 장애''로 분류되며, ''경계성 패턴'' 지정자가 추가되었다. 경계성 패턴은 대인 관계, 자아상, 정서의 불안정성 및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 장애로 정의된다.

5. 3. 밀론의 하위 유형

(요청한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원문에 없으므로 빈 출력값을 반환합니다.)

5. 4. 오진

경계선 성격장애(BPD)는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양극성 장애 등 다른 정신 질환과 증상이 겹치는 경우가 많아 오진될 가능성이 높다.[114][115]

오진은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지 못하게 하여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17] 정확한 진단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며, 치료 경과를 보고하는 데 필수적이다.

일부 비판론자들은 경계선 성격장애 진단이 다른 진단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이상의 추가적인 통찰력을 제공하지 않으며, 중복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18]

5. 5. 청소년기 및 전구 증상

경계선 인격장애(BPD) 증상은 일반적으로 청소년기 또는 초기 성인기에 시작되며, 어린 시절에 조기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119] 청소년의 예측 증상으로는 신체 이미지 문제, 거부에 대한 극심한 민감성, 행동 문제, 자해, 독점적인 관계 추구, 깊은 수치심 등이 있다.[52] 많은 청소년이 이러한 증상을 보이지만 BPD로 발전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BPD로 발전하는 청소년들은 이 질환을 겪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으며 잠재적으로 장기적인 사회적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52]

BPD는 DSM-5ICD-11에 의해 청소년기에 안정적이고 유효한 진단으로 인정받고 있다.[120][121][122][123] 미국, 호주, 영국, 스페인, 스위스를 포함한 여러 국가의 국가 지침에서는 젊은 개인의 BPD 조기 발견 및 치료를 강조하여 조기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22][124][125][126]

역사적으로 청소년기 BPD 진단은 진단의 정확성,[129][130] 정상적인 청소년 행동의 오해, 낙인, 그리고 이 발달 단계 동안의 성격 안정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 왔다.[122]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BPD 진단의 유효성과 임상적 유용성이 확인되었다.[120][121][122][123] 그러나 정신 건강 관리 전문가들 사이에서 오해가 지속되어[131][132][133] 이 집단에서 효과적인 BPD 치료를 제공하는 데 있어 진단에 대한 임상적 주저와 주요 장벽에 기여하고 있다.[131][134][135]

청소년기 BPD 진단은 성인기까지 질환이 지속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136][137] 개인에 따라 결과는 다를 수 있다. 일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인 진단을 유지하지만, 다른 사람은 진단 기준을 일관되게 충족하지 못할 수 있다.[138] 조기 진단을 통해 가족 치료를 포함한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개발하여 BPD를 겪는 청소년을 지원할 수 있다.[139]

5. 6. 감별 진단 및 공존 질환

경계선 성격장애는 다른 정신 질환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경계선 성격장애(BPD)는 오진을 받기 쉽다. 특히 BPD 증상과 우울증,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양극성장애와 같은 다른 장애의 증상이 겹치는 경우(공존 질환)가 많기 때문이다.[114][115] BPD로 오진할 경우, 환자는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수 있다.[117] 일부 비판론자들은 BPD 진단이 다른 진단 이상의 추가적인 통찰력을 제공하지 않으며, 중복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18]

경계선 성격장애(BPD) 환자는 다른 성격장애 환자보다 더 높은 공존 질환 발병률을 보인다. 여기에는 기분 장애(주요 우울 장애, 양극성 장애 등), 불안 장애(공황 장애, 사회 불안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포함), 다른 성격 장애(특히 분열형 성격 장애, 반사회적 성격 장애, 의존성 성격 장애), 물질 사용 장애, 섭식 장애(신경성 식욕 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140] 신체 증상 장애, 해리 장애 등이 있다.[141]

5. 6. 1. 기분 장애

경계선 성격장애(BPD)를 가진 사람들의 75%는 주요 우울 장애(MDD) 또는 양극성 장애(BD)와 같은 기분 장애를 함께 겪는다.[49] 이로 인해 두 질환의 증상이 겹쳐 진단이 복잡해진다.[147][148][149]

BPD와 BD 모두 조증 에피소드나 우울 에피소드 동안 나타날 수 있는 행동들이 진단 기준에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BD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정상 기분으로 돌아오면 사라지지만, BPD에서는 만연하게 나타난다.[150] 따라서 기분이 안정된 후 진단하는 것이 이상적이다.[151]

BPD와 BD의 기분 변화는 지속 기간에서 차이를 보인다. BD 에피소드는 보통 최소 2주 이상 지속되지만, BPD에서는 빠르고 일시적인 기분 변화가 나타난다.[150][151][154] 또한 BD의 기분 변화는 환경적 자극에 반응하지 않지만, BPD의 기분은 반응한다. 예를 들어, 긍정적인 사건은 BPD의 우울한 기분을 완화할 수 있지만, BD에서는 그렇지 않다.[151] BPD의 행복감에는 BD의 특징인 사고의 비약과 수면 욕구 감소가 없지만, BPD에서도 수면 장애는 나타날 수 있다.[152]

예외적으로 급속 순환형 BD 환자는 BPD 환자의 정동 불안정성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153][154][150]

과거에는 BPD가 BD의 가벼운 형태[155][156] 또는 양극성 스펙트럼의 일부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상학, 가족력, 질병 진행 과정, 치료 반응의 차이는 두 상태가 단일한 기본 메커니즘을 갖는다는 것을 부정한다.[157] 연구에 따르면 BPD와 BD는 미미한 연관성만 존재하며, 가까운 스펙트럼 관계라는 개념에 이의를 제기한다.[158][159]

BPD(경계선 성격장애) 진단을 받은 개인의 동반된 축 I 장애 평생 유병률의 성별 차이: 2008년[143]과 1998년[144] 비교 연구
축 I 진단전체(%)남성(%)여성(%)
기분 장애75.068.780.2
주요 우울 장애32.127.236.1
지속성 우울 장애9.77.111.9
양극성 I 장애31.830.632.7
양극성 II 장애7.76.78.5
불안 장애74.266.181.1
공황 장애와 광장 공포증11.57.714.6
광장 공포증이 없는 공황 장애18.816.220.9
사회 공포증29.325.232.7
특정 공포증37.526.646.6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39.229.547.2
범불안 장애35.127.341.6
강박 장애15.6
물질 사용 장애72.980.966.2
모든 알코올 사용 장애57.371.245.6
모든 비알코올 물질 사용 장애36.244.029.8
섭식 장애53.020.562.2
신경성 식욕 부진증20.87 *25 *
신경성 폭식증25.610 *30 *
기타 명시된 섭식 장애26.110.830.4
신체형 장애10.310 *10 *
신체화 장애4.2
건강 염려증4.7
신체형 통증 장애4.2
정신병적 장애1.31 *1 *
* 대략적인 값
** 1998년 연구의 값[1]
– 두 연구에서 제공되지 않은 값


5. 6. 2. 월경 전 불쾌 장애

경계선 인격장애는 월경 전 불쾌 장애(PMDD)와 일부 증상이 겹치기는 하지만, 구별되는 정신 의학적 질환이다. 경계선 인격장애는 월경 주기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PMDD는 황체기에 국한되며 월경과 함께 종료된다.

5. 6. 3. 다른 성격 장애

2008년에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경계선 인격장애(BPD) 환자의 약 74%가 평생 동안 다른 축 II 성격 장애의 기준도 충족한다.[141]

6. 해결 및 관리

경계선 인격장애의 주요 치료법은 정신 요법이며, 약물 치료는 동반되는 질환을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613] 심리 치료는 개인의 필요에 맞춰 진행되며,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다른 장애가 함께 나타날 경우 약물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613] 단기 입원이 지역사회 치료보다 환자의 회복을 돕거나 장기적인 자살 행동을 예방하는 데 더 효과적이지는 않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614]

병존 질환(기분 장애, 물질 사용 장애, 불안 장애, 섭식 장애, PTSD 등)의 회복은 성격에 큰 영향을 미치며, 치유를 촉진한다. 그 외 회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511][480][481]

요인설명
만성 현상나이가 들면서 성격이 성숙하는 등 자연스러운 경과에 의한 것이다.[425]
가족의 이해와 원조부모나 배우자에게 심리 교육을 실시하는 등 가족의 정서적 지지가 중요하다. 가족이 환자에게 보이는 적대감, 비판, 정서적 과몰입 등의 감정 표현(EE)은 환자에게 큰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가족의 이해와 지지는 재발을 예방하고 회복률을 높인다.[482]
환경 개선좋은 배우자와의 결혼, 불화했던 배우자와의 이혼, 재판이나 분쟁의 종결, 스트레스가 되는 인간 관계 해소 등은 스트레스에 취약한 환자의 회복을 돕는다.
사회에서의 좋은 경험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찾거나, 취미 모임, 그룹 홈과 같은 지역 사회 자원 활용, 자조 그룹(에모션즈 어노니머스 등) 참여 등이 도움이 된다. 특히 알코올 의존증이 있는 환자는 알코올 중독자 자조 그룹 참여가 예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485]



치료를 꺼리거나, 의료 제공자의 진단 부족, 선진 치료법의 제한적인 가용성 및 접근성 등의 요인으로 인해 치료를 받는 사람과 받지 못하는 사람 사이에 불균형, 즉 "치료 격차"가 발생하기도 한다.

6. 1. 심리 치료

심리치료는 경계선 인격장애의 주요 치료법이다.[612] 장기적인 심리치료는 경계선 성격장애 치료에 효과적인데, 특히 변증법적 행동치료(DBT)와 정신역동 접근법 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15][616] 하지만 그 영향은 크지 않아, 많은 사람들에게서 증상이 কিছুটা 남아있기도 하다.[616]

치료법으로는 역동적 해체 심리치료(DDP)[618], 정신화 기반 치료(MBT), 전이중심 심리치료(TFP),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일반적인 정신병 관리, 도식중심치료[619] 등이 있다. 변증법적 행동치료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지만,[620] 도식중심치료를 제외한 모든 치료법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식중심치료를 포함한 모든 치료를 장기적으로 받는 것이 치료를 받지 않는 것보다 좋으며, 특히 자해 충동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621]

도식 치료는 어린 시절의 충족되지 않은 욕구와 관련된 기억, 감정, 신체 감각, 인지에 대한 반응으로 일생 동안 반복되는 조직화된 패턴(초기 부적응적 도식)을 고려한다. 도식 치료는 인지 재구성, 정신적 심상, 행동 실험과 같은 다양한 인지적, 경험적, 행동적 기술을 사용하여 초기 부적응적 도식과 그 모드를 수정하려고 시도한다. 또한, 치료적 동맹은 제한된 재양육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치료사는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가 어린 시절에 경험했던 불안정성, 거부, 박탈에 대응하고 건강한 관계를 모델로 하려고 노력한다.[174]

마음 챙김 명상은 뇌의 긍정적인 구조적 변화 및 경계선 인격장애 증상 개선과 관련이 있으며, 마음 챙김 기반 중재에 참여한 일부 참가자는 치료 후 경계선 인격장애에 대한 진단 기준을 더 이상 충족하지 않는다.[175][176][177][178]

6. 1. 1. 전이 중심 심리 치료

전이중심 심리치료는 환자가 절대적으로 사고하는 경향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622] 이 치료법은 환자들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신의 감정에 대해 명확하게 표현하도록 유도하여, 보다 유연하고 미묘하게 생각하도록 돕는다.[622] 치료 과정에서 치료사는 환자의 개인적인 느낌을 다루고, 실제 발생했거나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을 검토하며, 환자가 이러한 느낌과 상황에 접근하는 방식도 함께 검토한다.[622]

6. 1. 2. 변증법적 행동 치료

변증법적 행동 치료(DBT)는 인지행동치료(CBT)와 유사하며, 명상을 추가하여 환자들이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623] 이러한 기술에는 정서 조절, 마음챙김, 스트레스 인내 등이 포함된다.[623]

변증법적 행동 치료에 사용되는 단계


변증법적 행동 치료는 대인 관계 의사 소통, 고통 감내, 감정 조절, 마음 챙김의 네 가지 주요 영역에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며, 경계선 인격장애(BPD) 환자에게 격렬한 감정을 관리하고 대인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70][171][168]

6. 1. 3. 인지 행동 치료

인지 행동 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는 경계선 성격장애 치료에도 사용된다. 이 치료는 장애에서 비롯된 문제를 찾아내어 개인의 행동과 믿음을 바꾸는 데 중점을 둔다.[624] 인지 행동 치료는 자살 생각과 자해 행동뿐만 아니라 불안, 기분 증상도 줄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6. 1. 4. 정신화 기반 치료

정신화 기반 치료(MBT)는 전이중심 심리치료(TFP)와 마찬가지로 정신역동적 원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625] 반면, 변증법적 행동치료(DBT)는 인지행동적 원리와 마음챙김에 기반을 두고 있다.[625]

6. 2. 약물 치료

2010년 코크란 리뷰에 따르면 만성적인 공허함, 정체성 혼란, 버려질 것 같은 두려움과 같은 경계선 인격장애의 핵심 증상에 효과적인 약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79] 일부 약물은 경계선 인격장애의 고립된 증상이나 동반 질환의 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9] 2017년 체계적 리뷰[181]와 2020년 코크란 리뷰[180]에서 이러한 결과를 확인했다.[181][180] 2020년 코크란 리뷰에서는 기분 안정제 및 2세대 항정신병 약물과 같은 일부 약물이 약간의 효과를 보였지만, SSRI와 SNRI는 효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증거가 부족하다고 밝혔다.[180] 이 리뷰는 안정제와 2세대 항정신병 약물이 경계선 인격장애의 일부 증상 및 관련 정신 병리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이러한 약물이 경계선 인격장애의 전반적인 심각도에는 효과적이지 않으므로 약물 치료는 특정 증상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180]

특정 약물은 경계선 인격장애 증상에 다양한 효과를 보였다. 할로페리돌과 플루펜틱솔은 분노와 자살 행동 감소에, 아리피프라졸은 충동성 및 대인 관계 문제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179] 올란자핀과 퀘티아핀은 정동 불안정, 분노 및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었지만, 올란자핀은 위약보다 자살 사고에 대한 효과가 적었다.[179][181] 발프로산과 토피라메이트와 같은 기분 안정제는 우울증, 충동성 및 분노에 약간의 개선을 보였지만, 카르바마제핀의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항우울제아미트리프틸린은 우울증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미안세린,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페넬진 설페이트는 효과가 없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자살 경향을 완화하고 우울증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에 대한 임상 시험은 반복되지 않았으며, 장기 사용의 효과는 평가되지 않았다.[179][181] 라모트리진[184]과 반응하지 않는 우울증에 대한 정맥 내 케타민[182][183]과 같은 다른 약물은 경계선 인격장애에 대한 효과를 더 연구해야 한다.

퀘티아핀은 150mg/day에서 300mg/day의 용량에서 경계선 인격장애의 심각도, 심리사회적 손상, 공격성 및 조증 증상에 약간의 효과를 보였지만,[184] 증거는 혼재되어 있다.[180]

확실한 증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SSRI와 SNRI는 경계선 인격장애에 대해 허가 외 처방되고 있으며,[184][185] 일반적으로 정신 요법의 보조 요법으로 간주된다.[185]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은 증거가 미약하고 심각한 부작용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경계선 인격장애 또는 관련 행동 및 증상에 대한 약물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약물은 보다 광범위한 치료 계획 내에서 동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186] 리뷰에서는 경계선 인격장애에 대한 약물 사용을 매우 낮은 용량과 짧은 기간으로 최소화하고, 경계선 인격장애에서 약물 치료에 대한 신중한 평가 및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한다.[187][188]

6. 3. 의료 서비스

경계선 성격 장애(BPD)를 관리하는 주요 방법은 개인의 필요에 맞춘 정신 요법이다.[1] 약물 치료는 BPD 자체를 치료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울증이나 불안과 같은 함께 나타나는 질환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63] 단기 입원은 지역 사회 치료보다 환자의 회복을 돕거나 장기적인 자살 행동을 예방하는 데 더 효과적이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64]

치료 혜택을 받는 사람과 받지 못하는 사람 사이의 불균형, 즉 "치료 격차"는 치료를 꺼리는 점, 의료 제공자의 과소 진단, 선진 치료법의 제한된 가용성과 접근성 등 여러 요인에서 발생한다.

7. 예후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는 치료를 통해 대다수가 증상 완화를 경험하며, 상당 기간 동안 증상이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주요 치료법은 심리치료(Psychotherapy)이며,[612] 개인의 요구에 기반해야 한다. 우울, 불안과 같은 다른 장애가 동반될 경우 약물치료(Medication)가 유용하다.[613] 환자의 자살 시도를 막거나 치유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단기 입원이 자가내치유(community care)보다 더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614]

8. 역학

경계선 성격장애(BPD)의 시점 유병률은 1.6%이며,[221] 평생 유병률은 전 세계 인구의 5.9%이다.[143][14][25][27][28]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0.7 - 4.0% 정도에 존재한다.[487][488]

일반 인구에 대한 평생 유병률과 연령, 성별 (Grant 등, 2008)[486]
연령남성여성합계
20 - 29세9.0%9.6%9.3%
30 - 44세6.1%7.0%8.0%
45 - 64세5.2%5.5%5.7%
65세 이상2.1%2.0%2.0%



임상 환경에서 BPD 발생률은 도시 1차 진료 환자 중 6.4%,[204] 정신과 외래 환자 중 9.3%,[205] 정신과 입원 환자 중 약 20%이다.[206] 외래 통원 환자에서는 약 10%,[303][495] 입원 환자에서는 15 - 20%로 나타난다.[496] BPD 환자는 의료 자원을 많이 사용하지만,[29]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최대 절반이 10년 동안 상당한 호전을 보일 수 있다.[14]

정신과 입원 환자 중에는 여성이 75%로 알려져 있지만, 일반 인구에서는 성별 유병률에 차이가 없다.[489] 평생 유병률은 남성 5.6%, 여성 6.2%이며,[490] 발병률이 높은 연령은 19 - 43세이다.[491][492][490]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이 진단되는 이유는 남성의 경우 반사회적 인격 장애, 자기애성 인격 장애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493][494][490] 임상 환경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3배 더 자주 BPD 진단을 받는다.[14][27] 그러나 미국의 역학 연구에 따르면 일반 인구의 BPD 평생 유병률에서 성별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207][143] BPD를 가진 여성이 남성에 비해 치료를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BPD 환자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성별 간 아동기 외상 발생률과 현재의 사회 심리적 기능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08]

BPD와 인종 간의 관계는 여전히 모호하며, 미국에서 상반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27] 미국의 통계에서는 백인이나 히스패닉보다 흑인이나 아메리카 원주민이 약간 더 많다.[490] 미국 교도소 수감자 중 BPD의 전체 유병률은 17%로 추정되는데,[209] 이는 BPD 환자 사이에서 약물 사용 및 물질 사용 장애의 높은 빈도(38%)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209] 영국의 유병률은 인구의 1% 미만이며, 대부분 청소년기 초기에 발생한다.

대인 관계 장애가 BPD의 한 증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치료자와의 관계 악화로 인해 치료자 측의 주관으로 진단되는 "의인성 BPD"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BPD는 조사의 특성상 어려움이 있어 데이터에 편차가 있는 경우가 많다.[385]

9. 역사

경계선 인격장애 개념은 1930년대 정신분석학계에서 신경증도 정신병도 아닌 질환 형태가 있다는 생각에서 비롯되어 논의되기 시작했다.[216] 1938년 아돌프 슈테른이 이 장애에 대한 최초의 공식적인 정의를 내렸다.[217][218] 그는 신경증과 정신병의 "경계선"에 있다고 생각되는 환자들을 묘사했는데, 이들은 종종 외상적인 가족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슈테른은 이 환자들이 고전적인 정신분석 기법보다 더 적극적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개인 내에서 강렬하고 상반된 감정이 공존한다는 개념은 이미 호메로스, 히포크라테스, 카파도키아의 아레타이오스에 의해 인식되었다. 아레타이오스는 충동적인 분노, 우울증, 조증이 한 사람 안에서 변동하는 현상을 묘사하기도 했다. 1684년 스위스 의사 테오필 보네는 ''folie maniaco-mélancolique''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예측할 수 없는 불안정한 기분 변화를 설명했고,[213] 1884년 미국의 정신과 의사 찰스 H. 휴즈와 1890년 J. C. 로스는 이 질환을 "경계선 정신이상"이라고 불렀다.[214] 1921년, 에밀 크레펠린은 현재 경계선 인격장애의 개념과 매우 유사한 "흥분성 성격"을 확인했다.[215]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나이트는 정신병과 신경증은 구별되어야 한다는 전통적 정신의학의 전제를 부정하고, 양자의 경계 영역에 병태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503]

10. 논란

경계선 인격장애(BPD)는 여러 논란에 휩싸여 있다.

우선,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들의 증언은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들은 타인의 행동에 과도하게 민감하고, 타인을 이상화했다가 평가절하하는 경향을 보인다.[46][47] 이러한 특징은 대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분열"로 이어진다.[48][49] 에드바르 뭉크는 경계선 인격장애를 겪은 것으로 진단받았으며,[211][212] 그의 작품 ''살로메''(1903)에서 이러한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에드바르 뭉크의 ''살로메''(1903)


경계선 인격장애 연구는 성격장애 유형 중 가장 발전했으며, 특히 미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505] DSM-IV-TR은 조작적 행동을 경계선 인격장애의 특징으로 간주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경계선 인격장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지만, 동시에 부정적인 이미지도 확산되었다.[513] 환자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은 물론, 의사상담사와 같은 치료자들 사이에서도 이 병명에 대한 혐오감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513]

경계선 인격장애는 정서적 불안정, 강렬하고 불안정한 대인 관계, 친밀함에 대한 욕구, 거부에 대한 두려움 등을 특징으로 한다. DSM-IV-TR 일본어판은 2003년 8월부터 '경계성 인격 장애'에서 '경계성 성격 장애'로 용어를 변경했으며, 일본 정신 신경 학회도 2008년 5월에 동일하게 용어를 개정했다.

10. 1. 증언의 신뢰성과 타당성

경계선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증언에 대한 신빙성은 적어도 1960년대부터 의문시되어 왔다. 이들은 타인의 행동에 과도하게 민감하며, 타인의 친절에는 깊은 행복을, 비판이나 해를 입었다고 느낄 때는 극심한 슬픔이나 분노를 느낀다.[46] 또한, 타인을 이상화했다가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어, 극단적인 존경과 깊은 불신 사이를 오간다.[47] 이러한 패턴은 "분열"이라고 불리며, 대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48][49]

에드바르 뭉크의 ''살로메''(1903)는 개인 관계에서 타인에 대한 이상화와 가치 절하를 보여주는 예시이다. 뭉크는 경계선 인격장애를 겪은 것으로 진단받았으며,[211][212] 그의 작품에서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

10. 1. 1. 해리

연구자들은 해리 또는 정서적 단절의 감각과 신체적 경험이 경계선 인격장애(BPD) 환자의 과거 사건의 세부 사항을 기억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10. 2. 성별

경계선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영어, BPD) 연구는 성격장애 유형 중 가장 발전했다. 특히 미국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505]

10. 3. 조작적 행동

조작적 행동은 DSM-IV-TR과 많은 정신 건강 전문가들이 경계선 인격장애의 특징으로 간주하며, 양육을 얻기 위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10. 4. 낙인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계몽 서적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경계선 성격장애(BPD)의 존재가 널리 알려졌다. 그러나 병명이 널리 퍼지면서 BPD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도 높아졌고, 환자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도 이 병명에 일종의 혐오감을 갖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513] 이러한 경향은 의사상담사 등 치료자에게도 존재한다.[513]

경계선 성격장애는 정서적 불안정, 강렬하고 불안정한 대인 관계, 친밀함에 대한 욕구, 거부에 대한 두려움 등을 특징으로 한다.

10. 4. 1. 신체적 폭력

경계선 인격장애(BPD)에 대한 낙인 중 하나는 BPD 환자가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기 쉽다는 믿음이다.[53] 그러나 BPD와 성격 장애는 만성 스트레스와 갈등, 낭만적인 관계에서의 만족도 감소, 가정 폭력, 원치 않은 임신과 관련이 있지만,[53] 이것이 BPD 환자가 타인에게 신체적 폭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의미하지는 않는다.

10. 4. 2. 정신 건강 관리 제공자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치료 과정에서 함께 일하기 가장 어려운 환자 그룹으로 여겨지며, 이들의 치료에 관련된 정신과 의사, 치료사, 간호사에게 높은 수준의 기술과 훈련이 요구된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계몽 서적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일반 사회에서도 이 장애의 존재가 널리 인지되게 되었지만, 병명이 널리 퍼지면서 의도하지 않은 곳에서 BPD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환자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도 이 병명에 일종의 혐오감을 갖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러한 경향은 의사상담사 등 치료자에게도 존재하며, 현재에도 불필요하게 회피적인 의료 종사자가 적지 않다고 한다.[513]

10. 5. 용어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계몽 서적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일반 사회에서도 경계선 인격장애의 존재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병명이 널리 퍼지면서 의도하지 않은 곳에서 부정적인 이미지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환자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도 이 병명에 일종의 혐오감을 갖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513] 이러한 경향은 의사상담사 등 치료자에게도 존재하며, 현재에도 불필요하게 회피적인 의료 종사자가 적지 않다고 한다.

DSM-IV-TR 일본어판 2003년 8월 신정판부터, 번역이 '''경계성 인격 장애'''에서 '''경계성 성격 장애'''로 변경되었으며, 또한 일본 정신 신경 학회도 2008년 5월에 경계성 성격 장애로 용어 개정을 했다.

11. 사회와 문화

경계선 인격장애(BPD) 환자는 타인으로부터 받는다고 인식하거나 실제로 받는 대우에 매우 민감할 수 있다. 이들은 타인의 친절에 대해 깊은 행복과 감사를 느끼는 동시에, 비판이나 해를 입었다고 인식할 때 극심한 슬픔이나 분노를 느낄 수 있다.[46] BPD의 두드러진 특징은 이상화와 평가절하 경향, 즉 타인을 이상화했다가 이후 평가절하하는 경향으로, 극단적인 존경과 깊은 불신 또는 혐오 사이를 오가는 것이다.[47] 이러한 패턴은 "분열"이라고 한다.[48][49]

11. 1. 문학

경계선 인격장애의 징후를 보이는 것으로 여겨지는 문학 작품 속 등장인물로는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1847)의 캐서린,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1880)의 스메르자코프, 헤르만 헤세의 《황야의 이리》(1927)의 해리 할러 등이 있다.

11. 2. 영화

위노나 라이더는 경계선 인격장애(BPD)로 입원한 경력이 있으며, 주연 및 제작 총지휘를 맡은 영화 《처음 만나는 자유》에서 BPD를 가진 주인공 수잔나 역을 연기했다. 원작 소설 《처녀들의 병동》에 매료된 그녀는 영화화 권리를 사들여 제작에도 참여했다. 원작자 수잔나 케이슨은 10대 시절 BPD로 진단받았으나, 치유된 후 작가가 되어 이 자전적 소설을 썼다.[520] 수잔나는 현재도 소설가로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519]

11. 3. 텔레비전

텔레비전 드라마 시리즈인 ''크레이지 엑스 걸프렌드(Crazy Ex-Girlfriend)''(2015)와 미니시리즈 ''매니악(Maniac)''(2018)은 경계선 성격장애(BPD)를 가진 인물을 묘사한다.[514]

11. 4. 인식

경계선 인격장애(BPD) 환자는 타인으로부터 받는다고 인식하거나 실제로 받는 대우에 매우 민감할 수 있다. 이들은 타인의 친절에 대해 깊은 행복과 감사를 느끼는 동시에, 비판이나 해를 입었다고 인식할 때 극심한 슬픔이나 분노를 느낄 수 있다.[46] BPD의 두드러진 특징은 타인에 대한 이상화와 평가절하 경향, 즉 타인을 이상화했다가 이후 평가절하하는 경향으로, 극단적인 존경과 깊은 불신 또는 혐오 사이를 오간다.[47] 이러한 패턴은 "분열"이라고 한다.[48][49]

참조

[1] 서적 Edvard Munch: The Life of a Perso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as Seen Through His Art Lundbeck Pharma A/S
[2] 논문 Edvard Munch https://www.jstor.or[...]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21-08-10
[3]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John Wiley & Sons 2020-06-05
[4] 서적 A Dictionary of Hallucin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0-06-05
[5] 서적 Hysteria https://psycnet.apa.[...] Taylor & Francis 2022-12-14
[6] 논문 Historical roots of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2015-09-25
[7] 웹사이트 ICD-11 – ICD-11 for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 https://icd.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10-06
[8] 논문 Role of Genotype in the Cycle of Violence in Maltreated Children 2002-08-02
[9] 논문 The borderline diagnosis II: biology, genetics, and clinical course 2002
[10] 논문 Positive Childhood Experiences: Resilience and Recovery From Personality Disorder in Early Adulthood 2007-07-15
[11] 논문 Prediction of the 10-Year Course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6
[12] 논문 Time to Attainment of Recovery From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Stability of Recovery: A 10-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2010
[13] 논문 Attainment and Stability of Sustained Symptomatic Remission and Recovery Among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Axis II Comparison Subjects: A 16-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2012
[14] 간행물
[15] 웹사이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www.nimh.nih.[...] 2016-03-16
[16]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emotion dysregula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05
[17] 논문 The Role of Trauma in Early Onset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Biopsychosocial Perspective 2021-09-23
[18]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childhood trauma: exploring the affected biological systems and mechanisms 2017-06
[19] 웹사이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nimh.nih[...] The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21-02-25
[20] 논문 Alcohol Use Disorder and Antisocial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
[21] 서적 Sometimes I Act Crazy. Living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archive.org/[...] Wiley & Sons
[22] 논문 Momentary Interpersonal Processes of Suicidal Surge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pmc.ncbi.nlm[...] 2020-12-10
[23]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tigma, and treatment implications
[24] 서적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25] 웹사이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www.nimh.nih.[...] 2016-03-16
[26]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1-01
[27] 서적 UpToDate https://uptodate.com[...] Wolters Kluwer 2024-03-13
[28] 웹사이트 NIMH " Personality Disorders https://www.nimh.nih[...] 2021-05-20
[29]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resource utilisation costs in Ireland 2021-09
[30]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ontogeny of a diagnosis 2009-05
[31] 웹사이트 Diagnostic criteria for 301.83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Behavenet https://behavenet.co[...] 2019-03-23
[32] 논문 Social Cognition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plitting and Trust Impairment Findings https://www.scienced[...] 2018-12
[33]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http://worldcat.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0-09-23
[34] 서적 Mental Health Care in the Perinatal Period Centre of Perinatal Excellence
[35] 간행물
[36] 서적
[37] 학술지 Components of Emotion Dysregula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Review 2013-01
[38] 서적 Abnormal Psychology Pearson Education 2017
[39] 서적
[40] 학술지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ffective instability: What you know impacts how you feel. 2018-07
[41] 학술지 Aversive tension in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computer-based controlled field study 2005-05
[42] 서적
[43] 학술지 Is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really an emotion dysregulation disorder and, if so, how? A comprehensive experimental paradigm 2022-09
[44] 학술지 The pain of being borderline: dysphoric states specific to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45] 학술지 Characterizing affective instability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2-05
[46] 학술지 Introduction to special issue: cognition and emo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5-09
[47] 서적
[48] 웹사이트 What Is BPD: Symptoms http://www.borderlin[...] 2013-01-31
[49] 서적 Disordered Personalities Rapid Psychler Press
[50] 학술지 Attachment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51] 학술지 Family relationships of adul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52] 학술지 Clinical practic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1-05
[53] 학술지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as predictors of 4-year romantic relationship dysfunction in young women: addressing issues of specificity 2000-08
[54] 학술지 Patterns of interpersonal behaviors and borderlin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2007-01-01
[55] 서적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Research Nova Science Publishers, Incorporated
[56] 학술지 Battering typologies, attachment insecurity, and personality disorder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2016
[57] 학술지 Affective and cognitive theory of mind abilities in youth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or major depressive disorder 2017
[58] 학술지 Mentalization of complex emotion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 impact of parenting and exposure to trauma on the performance in a novel cartoon-based task 2016
[59] 학술지 Manage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review of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2006-02
[60] 학술지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jealousy, and cyberbullying in adolescence 2015
[61] 학술지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Mate Retention Behaviors: The Mediating Roles of Suspicious and Reactive Jealousy 2023
[62] 서적
[63] 학술지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elf-mutilation and suicide: literature review]" 2008-10
[64] 학술지 Physical and social pains in borderline disorder and neuroanatomical correlates: a systematic review 2014-05
[65] 학술지 Suicidality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66] 서적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Clinical Guid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67] 서적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Guide to Evidence-Based Practice The Guilford Press
[68] 학술지 Reasons for suicide attempts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2-02
[69] 학술지 Self-concept structure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Evidence for negative compartmentalization https://www.scienced[...] Elsevier 2015-03
[70] 학술지 Diagnos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2-11
[71] 서적
[72] 서적
[73] 학술지 Psychotic symptoms in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revalence and clinical management https://journals.lww[...] 2013-01
[74] 학술지 Hallucination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revalence, characteristics and associations with comorbid symptoms and disorders 2017-10
[75] 학술지 Auditory Verbal Hallucination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the Efficacy of Antipsychotics: A Systematic Review 2018-07-31
[76] 학술지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disability 2011-04
[77] 웹사이트 Disability Evaluation Under Social Security. 12.00 Mental Disorders – Adult https://www.ssa.gov/[...] 2023-07-23
[78] 웹사이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08-05-15
[79] 학술지 The phenomenological and conceptual interface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PTSD 1993-01
[80] 학술지 Pathways to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81] 학술지 Past, present, and future of genetic research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8-06
[82] 학술지 Family Stud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Its Sectors of Psychopathology 2011-08
[83] 학술지 Genetics of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0-03
[84] 학술지 A twin study of personality disorders
[85] 학술지 Trauma, genes, and the neurobiology of personality disorders 2004-12
[86] 웹사이트 Possible Genetic Cause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dentified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com 2008-12-20
[87] 학술지 Brain structure and func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2-10
[88] 학술지 Genome-wide analyses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2014-08
[89] 학술지 Child development and personality disorder 2008-09
[90] 서적 Trauma and recovery https://archive.org/[...] Basic Books
[91] 학술지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childhood trauma: evidence for a causal relationship 2009-02
[92] 뉴스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Understanding this challenging mental illness http://www.mayoclini[...] 2017-09-05
[93] 학술지 Biparental failure in the childhood experiences of borderline patients
[94] 서적 Handbook of attachment Guilford Press
[95] 서적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J. Aronson
[96] 문서 . Crowell SE, Beauchaine TP, and Linehan MM (2009) 'A Biosocial Developmental Model of Borderline Personality: Elaborating and Extending Linehan's Theory', Psychological Bulletin, 135(3):495-510, https://doi.org/10.1037%2Fa0015616.
[97] 학술지 A biosocial developmental model of borderline personality: Elaborating and extending Linehan's theory 2009-05
[98] 문서 . Dixon-Gordon KL, Peters JR, Fertuck EA, Yen S (2017) 'Emotional Processe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Update for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27(4):425-438. doi: 10.1037/int0000044.
[99] 학술지 Lessons from the borderline: Anthropology, psychiatry, and the risks of being human http://journals.sage[...] 2013-02
[100] 학술지 Thought sup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2005-09
[101] 서적
[102] 학술지 Neural correlates of negative emotionality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activation-likelihood-estimation meta-analysis 2013-01
[103] 학술지 Neural correlates of emotion processing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9-06
[104] 학술지 Rejection Sensitivity and Executive Control: Joint predictors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2008-02
[105] 학술지 Impaired working memory and normal sustained atten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2-12
[106] 서적 UpToDate https://www.uptodate[...] Wolters Kluwer 2023-03-11
[107] 웹사이트 Personality Disorders: Tests and Diagnosis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13-06-13
[108] 간행물
[109] 간행물
[110] 간행물
[111] 웹사이트 ICD-11 for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 https://icd.who.int/[...] 2024-03-11
[112] 웹사이트 ICD-10 Version:2019 https://icd.who.int/[...] 2024-03-11
[113]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in Modern Life John Wiley & Sons
[114] 논문 Prescribing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6-04
[115]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Alexithymia, Emotional Dysregulation and Rumination
[116] 논문 Why do we need a diagnosis? Maybe a syndrome is enough? 2015
[117]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Bipolar Disorder http://dx.doi.org/10[...] 2015
[118] 논문 Borderline, where are you? A psychometric approach to the personality domains i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1th Revision (ICD-11) 2022-06
[119] 간행물
[120] 논문 Fact or fiction: diagnos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adolescents http://dx.doi.org/10[...] 2020-09-23
[121] 서적 Young People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ncbi.nlm[...]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2020-09-23
[122]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adolescence https://publications[...] 2020-09-23
[123] 논문 The Lifetime Course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5-07
[124] 서적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worldcat.org/[...]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2020-09-23
[125] 웹사이트 Overview {{!}}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recognition and management {{!}} Guidance {{!}} NICE https://www.nice.org[...] 2020-09-23
[126] 논문 Guía de práctica clínica sobre trastorno límite de la personalidad https://scientiasalu[...] 2020-09-23
[127] 서적 Treatment of Personality Disorders Springer US 2020-09-23
[128]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adolescents: prevalence, diagnosis, and treatment strategies 2018-11-23
[129] 서적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worldcat.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0-09-23
[130] 서적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http://worldcat.org/[...]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09-23
[131] 논문 Moving forward: closing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for young people with BPD 2020-08
[132] 논문 Diagnosing BPD in Adolescents: More good than harm 2018-08
[133] 논문 Diagnosis of personality disorders in adolescents: a study among psychologists 2013-02
[134]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Young People: Are We There Yet? http://doi.wiley.com[...] 2020-09-23
[135] 논문 Working around a contested diagnosis: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adolescence 2013-01
[136] 간행물
[137] 서적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ical Disorders: Comprehensive Textbook Oxford University Press
[138] 논문 Fact or fiction: diagnos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adolescents 2008-07
[139] 간행물
[140] 논문 Comorbi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borderline patients defines an impulsive subtype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0-12
[141] 논문 Axis I comorbidit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98-12
[142] 논문 Bipolar II Disorder: Frequent, Valid, and Reliable 2019-08
[143]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disability, and comorbidity of DSM-IV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results from the Wave 2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2008-04
[144] 논문 Axis I comorbidit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98-12
[145] 논문 Clinical Challenges in Co-occurring Borderline Personality and Substance Use Disorders http://www.psychiatr[...] 2006-11
[146]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in females: A cross-sectional study http://www.clinicaln[...] 2013-02-07
[147] 논문 Distinguish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rom bipolar disorder: differential diagnosis and implications 1996-09
[148] 논문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1-10
[149] 웹사이트 Differential Diagnosi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www.borderlin[...]
[150] 간행물 2007
[151] 서적 Manic-depressive illnes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2] 논문 Chronic sleep disturbances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2013-10
[153] 논문 Affective instability as rapid cycling: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for borderline personality and bipolar spectrum disorders 2006-02
[154] 간행물 2007
[155] 논문 The nosologic status of borderline personality: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study 1985-02
[156] 논문 The interface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affective disorder 1985-03
[157] 논문 Borderline or bipolar? Distinguish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rom bipolar spectrum disorders 2004
[158] 서적 Manic-depressive illnes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9]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bipolar spectrum relationship 2006-01
[160] 논문 The Cerebellum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2014
[161] 논문 Clinical practice.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2003-01
[162] 논문 Treatment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2013-11
[163] 웹사이트 CG78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NICE guideline http://www.nice.org.[...] Nice.org.uk 2009-08-12
[164] 논문 Is hospitalization useful for suicidal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4-06
[165] 논문 Psychotherap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9-11
[166] 논문 Efficacy of Psychotherapies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research.vu.[...] 2019-12-12
[167] 서적 Psychodynamic psychiatry in clinical practic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4
[168] 논문 What Works in the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69] 논문 Psychotherapy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rogress and Remaining Challenges 2017-03
[170] 논문 An Exploration of Common Elements in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Mentalization Based Treatment and Transference Focused Psychotherapy in the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4-03-01
[171] 서적 Integrated Modular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zenodo.org/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3-14
[172] 논문 Two-yea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follow-up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vs therapy by experts for suicidal behaviors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6-07
[173] 논문 Effectiveness of different psychotherapy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0-02
[174] 서적 Schema Therapy: A Practitioner's Guide Guilford Press
[175] 논문 Special issue on mindfulness neuroscience 2013-01
[176] 논문 Mechanisms of white matter change induced by meditation training
[177] 논문 Beyo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 mindful brain 2014-10
[178] 논문 A feasibility study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1-06
[179] 논문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0-06
[180] 논문 Pharmacotherapy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Cochrane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trials 2010-01
[181] 논문 A Focused Systematic Review of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7-05
[182] 논문 Ketamine for non-suicidal self-harm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with co-morbid recurrent depression: A case report 2021-12
[183] 논문 The effect of IV ketamin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elevated feature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22-10
[184] 논문 Pharmacotherapy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Update of Published, Unpublished and Ongoing Studies https://link.springe[...] 2021-05-30
[185] 논문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Common Comorbidities 2023-05-31
[186] 웹사이트 2009 clinical guideline for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BPD http://www.nice.org.[...] UK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NICE) 2011-09-06
[187] 논문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Lamotrigine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2018-08
[188] 논문 Effects of pharmacological treatments on emotional task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review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ies 2021-06
[189] 뉴스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bpdfamily.com[...] BPDFamily.com 2014-08-05
[190] 논문 Key stakeholders'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the care system for individuals affected by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towards co-production of care 2022-09-22
[191] 논문 Treatment histories of borderline inpatients
[192] 논문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by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atients and Axis II comparison subjects followed prospectively for 6 years 2004-01
[193] 논문 Travelling through the system: the lived experience of people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contact with psychiatric services 2003-08
[194] 논문 Assessing Suicide Risk in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www.psychiatr[...] 2004-07-01
[195]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6] 뉴스 National leaders warned over lack of services for personality disorders https://www.hsj.co.u[...] 2017-12-22
[197] 논문 The longitudinal course of borderline psychopathology: 6-year prospective follow-up of the phenomenolog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3-02
[198] 논문 Time to attainment of recovery from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stability of recovery: A 10-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2010-06
[199] 간행물 Long-Term Stud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hows Importance of Measuring Real-World Outcomes http://www.mclean.ha[...] McLean Hospital 2013-02-05
[200]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Review 2023-02-28
[201] 논문 Long-term clinical and functional course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2019
[202]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the development of the working alliance in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2-08
[203] 논문 Psychosocial functioning of borderline patients and axis II comparison subjects followed prospectively for six years 2005-02
[204]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primary care 2002-01
[205] 논문 The prevalence of DSM-IV personality disorders in psychiatric outpatients 2005-10
[206] 서적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207] 논문 DSM-IV personality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2007-09
[208]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indings from the Collaborative Longitudinal Personality Disorders Study https://works.bepres[...] 2003-07
[209] 웹사이트 BPD Fact Sheet http://www.borderlin[...] National Educational Alliance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10] 서적 Edvard Munch: the life of a perso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as seen through his art Lundbeck Pharma A/S 1990
[211] 서적 Search for the Real Self. Unmasking The Personality Disorders of Our Age Simon and Schuster 1988
[212] 서적 Edvard Munch: the life of a perso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as seen through his art Lundbeck Pharma A/S
[213] 간행물 2004
[214] 논문 Borderline psychiatric records – prodromal symptoms of psychical impairments
[215] 간행물 1996
[216] 논문 A history of borderline: disorder at the heart of psychiatry https://oro.open.ac.[...] 2023-08-01
[217] 논문 Psychoanalytic investigation of and therapy in the borderline group of neuroses
[218] 논문 Adolph Stern, father of term 'borderline personality'
[219] 논문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borderline concept: a review and critique 1985-08
[220] 논문 The diagnostic interview for borderline patients 1981-07
[221] 웹사이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Overview http://www.psychiatr[...] 2004-07
[222] 서적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aylor & Francis
[223] 서적 Mental Health Primer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8-05-29
[224] 서적 Psychopharmacology Bulletin https://books.google[...] The Clearinghouse 1966
[225] 논문 Crossing the border into borderline personality and borderline schizophrenia. The development of criteria 1979-01
[226] 문서 Psychiatric Illness: Diagnosis, Management and Treatment for General Practitioners and Students Baillière Tindall 1980
[227] 서적 Childhood antecedents of multiple personality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85
[228] 논문 Pathological lying revisited https://citeseerx.is[...]
[229] 논문 Autobiographical memory and dissocia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99-11
[230] 서적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Guide to Evidence-Based Practice The Guilford Press
[231] 서적 Sometimes I Act Crazy. Living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archive.org/[...] Wiley & Sons
[232] 논문 Gender pattern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1-05
[233] 간행물 2000
[234] 논문 Psychological masculinity, femininity, and tactics of manipulation in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research[...] 2013
[235] 간행물 1993
[236] 간행물 1993
[237] 논문 Crossing the Lines: Manipulation, Social Impairment, and a Challenging Emotional Life https://journals.ope[...] 2021-12-01
[238]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gender stereotypes, stigma, and limited system of care
[239] 논문 When she was ba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a posttraumatic age 2000-10
[240] 간행물 2007
[241] 간행물 2007
[242] 논문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2020-08
[243] 논문 The difficult patient. The role of 'scientific psychiatry' in understanding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or severe personality disorder 1999-03
[244] 논문 Experience, knowledge and attitudes of mental health staff regarding clients with a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2-09
[245]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o diagnose or not to diagnose? That is the question 2020-05-19
[246] 논문 Attitudes of registered psychiatric nurses towards patients diagnosed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researchonli[...] 2024-03-16
[247]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ttitudinal change following training 2004-07
[248] 논문 The beginning of wisdom is never calling a patient a borderline; or, the clinical management of immature defenses in the treatment of individuals with personality disorders
[249]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 voice of patients 1999-08
[250] 서적
[251] 뉴스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Label Creates Stigma https://web.archive.[...]
[252] 웹사이트 Understand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web.archive.[...] Treatment and Research Advancements Association for Personality Disorder
[253] 웹사이트 How Advocacy is Bring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to the Light https://web.archive.[...]
[254] 서적 Understanding and Treat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Guide for Professionals and Families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55] 논문 Axis One/Axis Two: A disordered borderline https://archive.toda[...] 2013-07-05
[256] 서적
[257] 논문 The Depiction of Trauma and its Effect on Character Development in the Brontë Fiction 2013-04-01
[258] 논문 Personality Disorder of Character Smerdyakov in Novel the Brother Karamazov Bu [sic] Fyodor Dostovesky (Translated by Constance Clara Garnett) https://repository.u[...] 2022-05-22
[259] 서적 Transpersonal Psychotherapy https://books.google[...] SAGE 2022-05-22
[260] 서적 The Field Guide to Personality Disorders Rapid Psychler Press
[261] 뉴스 Kristen Wiig earns awkward laughs and silence in 'Welcome to Me' https://www.washingt[...] 2015-06-03
[262] 뉴스 Toronto Film Review: 'Welcome to Me': Kristen Wiig plays a woma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this startlingly inspired comedy from Shira Piven https://variety.com/[...] 2015-06-03
[263] 웹사이트 Use Your Movie Time To Get Help With Mental Health Issues https://www.femina.i[...] 2022-01-21
[264] 논문 Early Sea Change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web.archive.[...] 2009-04-17
[265] 서적 Reel Psychiatry: Movie Portrayals of Psychiatric Conditions Rapid Psychler Press
[266] 서적 Movies and Mental Illness: Using Films to Understand Psychopathology Hogrefe
[267] 논문 Long-term Memories: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2010-10-29
[268] 서적 Psychology at the Movies 2012-03-14
[269] 뉴스 "Shame" and "A Dangerous Method" reviews http://www.artofpsyc[...] 2017-01-13
[270] 웹사이트 Crazy Ex-Girlfriend is the best depiction of mental health on television today http://metro.co.uk/2[...] 2018-01-30
[271] 뉴스 Netflix's 'Maniac' Is A Trippy Ride with a Lot To Say About Mental Illness https://www.bustle.c[...] 2019-03-01
[272] 뉴스 A Therapist Explains Why Everyone on 'Game of Thrones' Has Serious Issues: Westeros is Basically A Living, Breathing Manual for Mental Illness https://web.archive.[...] MTV News 2019-05-13
[273] 서적 This Thing of Ours: Investigating the Sopranos Wallflower Press 2002
[274] 웹사이트 Titans Gives Bruce Wayne a Psychological Diagnosis https://www.cbr.com/[...] 2022-08-09
[275] 뉴스 The Depressing Themes Hiding in Bojack Horseman's Closet https://www.highland[...] 2024-01-04
[276] 뉴스 BPD Awareness Month – Congressional History https://web.archive.[...] Mental Health Today 2010-11-01
[277] 뉴스 When is BPD Awareness Month? https://bpd-aware.co[...] BPD-Aware 2024-09-07
[278] 웹사이트 선미 고백한 '경계선 인격장애' 뭐길래? https://entertain.na[...] Naver TV 2020-12-16
[279] 웹사이트 境界性人格障害(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 https://1mental-clin[...] 2022-02-21
[280] 웹사이트 "生きるのがつらい…"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とは? - 記事 {{!}} NHK ハートネット https://www.nhk.or.j[...] 2022-02-21
[281] 웹사이트 Personality Disorder http://www.rcpsych.a[...] 英国王立精神医学会 2015-07-01
[282] 서적 神経症概念はいま―我々はフロイトのために百年の回り道をしたのだろうか 金剛出版 1995
[283] 문서 成田善弘 (2006)
[284] 서적 Stress,appraosal,and coping.Springer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03
[285] 문서 林直樹 (2011)
[286] 문서 ジャン・ベルジュレ
[287] 서적 臨床心理学大系 第11巻「精神障害・心身症の心理臨床」 金子書房 1990-07
[288] 문서 メラニー・A・ディーン (2005)
[289] 문서 マーガレット・マーラー
[290] 논문 A study of the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ss and its possible application to borderline phenomena in the psychoanalytic situation 1972
[291] 문서 市橋秀夫 (2006a)
[292] 문서 J・ボウルビィ (1991)
[293] 문서 市橋秀夫 (1997)
[294] 문서 下山晴彦 (2009)
[295] 문서 下山晴彦 (2009), 福島章 (1991)
[296] 문서 稲富正治 (2005)
[297] 논문 境界例患者の神経症症状の臨床的研究 1992
[298] 논문 Self-injurious behavior and mood regulation in berderline patients. 1997
[299] 문서 福島章、村瀬孝雄、山中康裕 (1990)
[300] 논문 Completed suicide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90
[301] 논문 The PL 500:Lomg-term follow-up of borderline inpatients meetimg DSM-III criteria.I.Global outcome. 1978
[302] 문서 Stone (1990), Paris & Zweig-Frank (2001)
[303] 웹사이트 若い世代の自殺を防げ 〜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NHK) 2012-06-05
[304] 서적 専門医がやさしく語るはじめての精神医学 中山書店 2007-09
[305] 문서 林直樹 (2008)
[306] 문서 松本俊彦 (2009)
[307] 문서 林直樹 (2007/10)
[308] 논문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と救急医療
[309] 논문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入院治療(3) - 治療選択、デイケア、病診連携 2008
[310] 문서
[311] 서적 心と向き合う臨床心理学 朝日新聞出版 2012-01
[312] 문서
[313] 문서 岡野憲一郎 (2010)
[314] 문서 メラニー・A・ディーン (2005)
[315] 문서 馬場禮子、福島章、水島恵一 (2000)
[316] 서적 これならわかる!精神医学 ナツメ社 2011-05
[317] 문서 杉原一昭、渡辺映子、勝倉孝治 (2003)
[318] 문서 Kernberg,O.(1975).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New York:Aronson.
[319] 간행물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長期予後 2008-09
[320] 서적 DSM-IV-TR 精神疾患の診断・統計マニュアル(新訂版) 医学書院 2004
[321] 서적 精神疾患診断のエッセンス―DSM-5の上手な使い方 金剛出版 2014-03
[322] 서적 ICD‐10精神および行動の障害:臨床記述と診断ガイドライン 医学書院 2005
[323] 간행물 Prototypic typology and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83
[324] 간행물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review of data on DSM-III-R descriptions. 1991
[325] 간행물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長期経過と診断の変遷 2008
[326] 간행물 Axis I comorbidit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ajp.psychiatr[...] 1998-12
[327] 문서 アメリカでは1990年代頃から、ManagedCareと呼ばれる、新しいタイプの医療保険が普及している。保険料が安いかわりに、同一の疾患に対して二重盲験試験で効果のあった薬剤しか投与できないというシステムのもので、医師も指定されており、保険会社指定の医師にしかかかれない。これら医療保険システムの変化なども、診断が曖昧であった精神科での診断学・鑑別学の発展に貢献している。
[328] 문서 小羽俊士 (2009)
[329] 문서 解離性同一性障害(DID)は解離性障害のサブタイプである。初期の頃はDIDを見逃されやすいが、DIDの多くはBPDも持つ可能性が高い。
[330] 문서 Akiskal (1981)(1983)
[331] 문서 クロール,1988
[332] 문서 成田善弘 (2006)
[333] 문서 G・O・ギャバード (1997)
[334] 서적 わかりやすい子どもの精神科薬物療法ガイドブック 星和書店 2006-05
[335] 문서 Doyle TJ, Tsuang MT, Lyons MJ.(1999)Comorbidity of depressive illnesses and personality disorders. In: Tohen M, editor. Comorbidity of Affective Disorders. New York: Marcel Dekker,
[336] 간행물 境界性人格障害と双極 II 型障害をどう見極めるか http://paxil.jp/expe[...] Bulletin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2007-09
[337] 간행물 Criteria for the"soft"bipolar spectrum:treatment implications 1987
[338] 간행물 Subaffective disorders:dysthymic, cyclothymic and bipolar II disorders in the "borderline" realm. 1981
[339] 간행물 The bipolar spectrum: new concepts in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In: Grinspoon L, editor. 1983
[340] 문서 秋山剛、酒井佳永、松本聡子 (2007)
[341] 간행물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the Community. 1990
[342] 간행물 PTSD患者の痛覚処理に変化:痛みに対する評価は対照群より低い http://mtpro.medical[...] 2007-08
[343] 문서 ジュディス・L・ハーマン (1999)
[344] 서적 よくわかるパニック障害・PTSD - 突然の発作と強い不安から、自分の生活をとり戻す 主婦の友社 2012-01
[345] 문서 河合隼雄、空井健三、山中康裕 (2000)
[346] 간행물 Axis I Dissociative Disorder Comorbidity in BorderlinePersonality disorder and Reports of Childhood Trauma. 2006
[347] 간행물 Psychotic Symptom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86
[348] 간행물 Multiple Personality and BOrderline Personarity Disorder. 1984
[349] 문서 細澤仁 (2008)
[350] 문서 ジェームス・F・マスターソン、アン・R・リーバーマン (2007)
[351] 문서 林直樹 (2007/11)
[352] 문서
[353] 서적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人の気持ちがわかる本 講談社 2011-11
[354] 논문 The socio-cognitive model of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a reexamination of the evidence. 1996
[355] 문서
[356] 논문 Rethinking the comparison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multiple personality disorder. 1994
[357] 문서 岡野憲一郎 (2009)
[358] 문서 柴山雅俊 (2006)
[359] 서적 学教職員のための大学生のこころのケア・ガイドブック - 精神科と学生相談からの15章 金剛出版 2007-04
[360] 논문 人格障害と精神病質 1990
[361] 문서 市橋秀夫 (2006b)
[362] 문서 成田善弘 (2006)
[363] 논문 若年性ミオクロニーてんかんにおける治療抵抗因子の検討 2008
[364] 논문 Psychiatric comorbidity in juvenile myoclonic epilepsy 2006
[365] 서적 壊れた心をどう治すか コフート心理学入門 II PHP研究所 2002-10
[366] 문서 丸田俊彦 (1992)
[367] 논문 Differentiat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rom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1991
[368] 논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I 1993
[369] 문서
[370] 논문 青年期の広汎性発達障害における併存障害とその介入 http://www.jspn.or.j[...] 2011
[371] 논문 The Impact of ADHD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on Temperament, Character, and Personality Development http://ajp.psychiatr[...] 2006-07
[372] 논문 発達障害とパーソナリティ障害 2010-11
[373] 문서
[374] 논문 広汎性発達障害と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 (特集 再びアスペルガー症候群をめぐって--成人の症例を中心に) https://cir.nii.ac.j[...] 2010
[375] 논문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と診断されていた特定不能の広汎性発達障害 2008-10
[376] 문서 成田善弘 (2006)
[377] 논문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s a potentially aggravating factor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bjp.rcpsych.o[...] 2008
[378] 논문 成人におけるADHD,高機能広汎性発達障害など発達障害のパーソナリティ形成への影響 ― 成人パーソナリティ障害との関連 ― 2004-04
[379] 논문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と発達障害:「重ね着症候群について」 - 治療的アプローチの違い 2004
[380] 문서
[381] 논문 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基盤にあったもの 2008-06
[382] 웹사이트 今,何故にパーソナリティ障害か https://www.jspn.or.[...] 日本精神神経学会 2013-10-31
[383] 서적 精神療法面接のコツ 岩崎学術出版 1990-09
[384] 문서
[385] 문서 岡野憲一郎 (2010)
[386] 문서 メラニー・A・ディーン (2005)
[387] 문서 メチルフェニデート(商品名リタリン・コンサータ)は現在はうつの治療には使われず、ナルコレプシーまたはADHDの治療にのみ使用できる。
[388] 논문 パーソナリティ障害 シナジー 2010-10
[389] 웹사이트 “薬漬け”になりたくない 〜向精神薬をのむ子ども〜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NHK) 2012-06-14
[390] 문서 マスターソンは発達停止論を元に、低機能型、高機能型という分け方をしている。見捨てられ不安は、分離-固体化段階(生後4 - 5か月から36か月頃)においての発達停止が根底にあるとし、発達停止がより早期に起こった群を低機能型、後期に起こった群を高機能型としている。([[#ジェームス・F・マスターソン、アン・R・リーバーマン (2007)|ジェームス・F・マスターソン、アン・R・リーバーマン (2007)]])
[391] 문서 武井茂樹 (2011)
[392] 논문 自我とパーソナリティ理解 null 1990
[393] 논문 Developmental histories of borderline patients. 1983
[394] 논문 Pharmacotherap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97
[395] 논문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spect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ps.psychiatry[...] 1991
[396] 논문 Depressive response to physostigmine challenge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atients. 1997
[397] 논문 Clinical outcome of psychopharmacologic treatment of borderline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subjects. 1998
[398] 문서 小羽俊士 (2009)
[399] 논문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umes of the Hippocampus and the Amygdala in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Early Traumatization http://archpsyc.ama-[...] 2000
[400] 논문 性格傾向(気質)と灰白質密度・体積の関連について - VBMを用いた研究 http://www.med.nagoy[...] 名古屋大学心理学講座 自然科学研究機構生理学研究所 null
[401] 논문 Amygdala hyperreactivity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mplications for emotional dysregulation. http://www.biologica[...]
[402] 논문 Neural correlates of antinocicep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6
[403] 논문 Electoroencephalographic abnormalitie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98
[404] 논문 Psychotherapy and psychological trauma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90
[405] 웹사이트 "Neglect(無視をするの意)"。子供に身体面、医療面、教育面、情緒面で必要不可欠なものを与えないこと。心理的ネグレクトは心理的虐待の一種である。 https://www.msdmanua[...] メルクマニュアル 家庭版,228章 児童虐待とネグレクト
[406] 논문 Childhood experiences of borderline patients. 1989
[407] 논문 Reported pathological childhood experience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ajp.psychiatr[...] 1998
[408] 문서 町沢静男 (2005) pp.112 - 114
[409] 논문 the Family of the borderline Patient.In Grinker RR Werble B(eds) 1977
[410] 논문 The Relationship of Early Maternal Separation to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Pilot Study. 1979
[411] 논문 Childhood Experiences of Borderline Patients. 1989
[412] 논문 Recollections of Family Experience in Borderline Patients. 1981
[413] 논문 Developmental Histories of Borderline Patients. 1983
[414] 논문 The Families of borderlines : A Comparative Study. 1980
[415] 논문 Parents'Emotional Neglect and Overprotection according to the Recollection of Patients with borderline Parsonarty Disorder. 1991
[416] 논문 Childhoo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97
[417] 논문 The Ohenomenological and Conceptual interface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PTSD. http://ajp.psychiatr[...] 1993
[418] 논문 境界例と心的外傷 null 2000-08
[419] 논문 Psychotherapies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focus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www.cambridg[...] 2022-09
[420] 논문 null null 2010-09
[423] 논문 外傷性精神障害という視点から 2010-11
[425] 서적 援助者必携 はじめての精神科 医学書院 2011-12
[427] 논문 Can assessors and therapists predict the outcome of long-term psychotherapy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8
[430] 논문 精神療法的アプローチ https://cir.nii.ac.j[...] 2010-11
[431] 논문 A randomized trial of psychiatric day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ffective and personality disorders 1993
[432] 논문 Effectiveness of partial hospitalisation in the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http://ajp.psychiatr[...] 1999
[433] 논문 An outcome study of psychotherapy for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92
[434] 논문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multicenter trial of treatment for affective disorder 1990
[436] 웹사이트 Expert on Mental Illness Reveals Her Own Fight http://www.nytimes.c[...] The Newyork times.com 2011-06-23
[437] 논문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Outpatient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Versus Structured Clinical Manage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ajp.psychiatr[...] 2009
[438] 논문 緊急提言!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治療に変革を! https://cir.nii.ac.j[...] 2010
[441] 논문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outpatient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versus structured clinical manage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ajp.psychiatr[...] 2009-12
[442] 서적 史上最強カラー図解 臨床心理学のすべてがわかる本 ナツメ社 2010-11
[446] 논문 Dialectical Behavior Therapy(DBT:弁証法的行動療法)による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境界性人格障害)の治療 https://doi.org/10.1[...] 2004-11
[453] 논문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1985
[454] 논문 Use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in a partial hospitsl program for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98-05
[455] 논문 The effectiveness of partial hosipitalization in the treatment ob BPD: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999-10
[456] 논문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with psychoanalytically oriented partial hospitalizatin:An 18-month follow-up http://ajp.psychiatr[...] 2001-01
[457] 문서 クロナゼパムはベンゾジアゼピン系薬剤だが抗てんかん薬である。[[ベンゾジアゼピン]]は不眠や不安の症状に効果的だが、多すぎるとかえって脱抑制(抑制の効かない状態)を起こす。([http://www.info.pmda.go.jp/downfiles/ph/PDF/450045_1139003C1044_1_06.pdf 中外製薬,2010]{{リンク切れ|date=2018年3月 |bot=InternetArchiveBot }})
[458] 문서 [[フルオキセチン]](プロザック)は、アメリカで一般的に使われているSSRI。フルオキセチンは衝動性や易怒にも効果があるという報告がある。([[#Coccaro (1997)|Coccaro (1997)]]、[[#Salzman (1995)|Salzman (1995)]])
[459] 문서 "[[#平島奈津子、野口堅吾 (2010)|平島奈津子、野口堅吾 (2010)]]"
[460] 문서 調査によるとBPD患者のオーバードースの86.2% - 90%が処方薬によるものである([[#牛島定信 (2008)|牛島定信 (2008)]] pp.70 - 71)
[461] 문서 "[[#成田善弘 (2006)|成田善弘 (2006)]] pp.138 - 139"
[462] 논문 Is there any drug treatment of choice for the borderline patient? 1994
[463] 논문 Antipsychotics, antidepressants, anticonvulsants, and placebo on the symptom dimension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and open-label trials. 2011-10
[464] 문서 ここでは「affective」を「情緒」と訳した。類似の表現としては「情緒・感情(emotion)」「気分(mood)」などがある。
[465] 논문 Omega-3 Fatty Acid Treatment of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ilot Study http://ajp.psychiatr[...] 2003-01
[466] 논문 Drug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onlinelibrary[...] 2010-06
[467] 문서 ω-3(オメガ3)脂肪酸。サバ、ニシン、イワシ、サケなどの青魚、キャノーラ油、クルミ、亜麻の実などに多く含まれる。[https://allabout.co.jp/gm/gc/300523/2/ ( All about 健康・医療 「オメガ-3脂肪酸は魚と野菜から」 2002年12月2日)]
[468] 문서 1990年代からアメリカの[[マサチューセッツ州]]にある{{仮リンク|マクリーン・ホスピタル|en|McLean Hospital|label=マクリーン・ホスピタル}}で Maclean Study for Adult Development と呼ばれる多大な費用を投じた大規模なBPD研究が行われており、現在も続けられている。この長期予後はその研究の中からの報告である。([[#藤内栄太 (2010)|藤内栄太 (2010)]])
[469] 논문 The longitudinal course of borderline psychopathology: 6-year prospective follow-up of the phenomenolog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ajp.psychiatr[...] 2003
[470] 문서 "[[#林直樹 (2011) |林直樹 (2011)]] pp.48 - 49"
[471] 문서 "[[#小羽俊士 (2009) |小羽俊士 (2009)]]"
[472] 논문 Implications of long-term outcome research for management of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2
[473] 문서 衝動行為は早くに改善するが、自殺が後期にも多い理由としては、20代 - 30代前半では突発的な過量服薬などの事故による死も多い(死んでしまう)が、30代以降になると患者は自らの意思で死を選ぶ傾向にあることがわかる。([[#藤内栄太 (2010)|藤内栄太 (2010)]])
[474] 논문 A 27-year follow-up of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1
[475] 논문 Psychotherapy of borderline patients in light of long-term follow-up 1987
[476] 논문 Time to attainment of recovery from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stability of recovery: a 10-years prospective follow-up study. http://ajp.psychiatr[...] 2010
[477] 문서 "[[#藤内栄太 (2010)|藤内栄太 (2010)]]"
[478] 논문 Prediction of the 10-year course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6
[479] 문서 ザナリーニは寛解に至りやすい人の傾向として、年齢が若い、性的虐待の既往がない、物質依存の家族歴がない、適切な職務経験がある、回避性・依存性・強迫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クラスターC群)を併発していない、5因子モデル(NEO-FFI)における低い神経症傾向、愛想の良さの7つを上げている。(Zanarini,M.C.,(2006))
[480] 논문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外来治療 - クリニックにおける境界患者の治療の現状と問題点 2008-09
[481] 논문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入院治療(2) 入院時の諸問題、グループ・ミーティング 2008-09
[482] 논문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家族へのアプローチ 2008-08
[483] 문서 "[[#ジョン・G. ガンダーソン、ペリー・D. ホフマン (2006)|ジョン・G. ガンダーソン、ペリー・D. ホフマン (2006)]]"
[484] 문서 また親自身が子供に依存的な家庭の子供にはリストカット症候群や摂食障害が多いとも言われている。その場合、子供は精神的に自立したくても出来ないもどかしい状況が構築される。子供にとって親が頼る対象にならない場合でも、親自身がカウンセリングに通うことで安定を得た結果、子供の気苦労が減り治癒を促進することがある([[#小此木啓吾 (1999)|小此木啓吾 (1999)]])
[485] 논문 Long-Term outcome in Personality Disorder 1993
[486]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Disability, and Comorbidity of DSM-IV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Results from the Wave 2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Lifetime Prevalence and Odds Ratios of DSM-IV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x 2008-04
[487] 문서 Cold(2003),Widigerとrogers(1989),Vita.Aら(2011)
[488] 논문 境界性パーソナリティ障害の症状に対する抗精神病薬,抗うつ薬,抗痙攣薬とプラセボ:無作為化対照試験とオープンラベル試験のメタ解析 https://ds-pharma.jp[...] 大日本住友製薬 2011-11
[489] 논문 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Biological Psychiatry (WFSBP) Guidelines for Biological Treatment of Personality Disorders 2007
[490]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Disability, and Comorbidity of DSM-IV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Results from the Wave 2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http://www.ncbi.nlm.[...] 2008-04
[491]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uthor 1987
[492] 간행물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the community 1990
[493] 문서 メラニー・A・ディーン (2005)
[494] 문서 阿保順子、犬飼直子 (2007)
[495] 간행물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4th ed.) 1994
[496] 간행물 Are thereborderlines in Britain? A cross-validation of U.S. findings. 1982
[497] 문서 力動精神医学
[498] 문서 Affective Dysregulation disorder
[499] 문서 신경증
[500] 웹사이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nhs.uk/m[...] 국민保健서비스 2015-07-01
[501] 문서 폴・페다ーン
[502] 문서 上里一郎、織田尚生 (2005)
[503] 문서 로버트・나이트
[504] 문서 오토・카른베르크
[505] 간행물 パーソナリティ障害 1990
[506] 간행물 いわゆる境界例について https://iss.ndl.go.j[...] 1956-07
[507] 간행물 所謂「境界線症例」Borderline caseに就いて - 特に精神分裂病と神経症との境界領域 https://iss.ndl.go.j[...] 1959
[508] 문서 福島章、村瀬孝雄、山中康裕 (1990)
[509] 문서 Psychopharmacology and the borderline patient
[510] 간행물 Descriptive and longitudinal observations on the relationship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bipolar disorder http://ajp.psychiatr[...] 2006
[511] 문서 牛島定信 (2008)
[512] 서적 知っておきたい精神医学の基礎知識 ― サイコロジストとコ・メディカルのために 誠信書房 2007-06
[513] 문서 小羽俊士 (2009)
[514] 문서 林直樹 (2011)
[515] 웹사이트 元清純派女優ウィノナ・ライダーが凄い!『ブラック・スワン』で一皮剥けた感 http://blog.movie.ni[...] Hottrash.com 2012-03-13
[516] 문서 町沢静男 (2005)
[517] 뉴스 動機ないモンロー「自殺」=肉声メモ発見、将来に抱負・レズ体験も 時事通信 2005-08-07
[518] 문서 町沢静男 (2005)
[519] 서적 Winona Ryder: The Biography "" 1998
[520] 서적 思春期病棟の少女たち 草思社 1994-06
[521] 웹사이트 「ウィノナ・ライダー、女優業はきらい…」 https://www.oricon.c[...] ORICON STYLE 2012-03-13
[522] 서적 完全版 ダイアナ妃の真実 - 彼女自身の言葉による 早川書房 1997-012
[523] 뉴스 The Newyork times 2011-06
[524] 웹인용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www.nimh.nih.[...] 2016-03-16
[525]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526] 서적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527] 저널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tigma, and treatment implications. 2006
[528] 웹인용 Diagnostic criteria for 301.83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Behavenet https://behavenet.co[...] 2019-03-23
[529] 간행물 Clinical practic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1-05
[530] 간행물 The "A-B-C's" of the cluster B's: identifying, understanding, and treating 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01-04
[531] 문서 New Hope for People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532] 문서
[533] 문서
[534] 서적 Abnormal Psychology Pearson Education, Inc. 2017
[535] 문서
[536] 문서
[537] 저널 Aversive tension in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computer-based controlled field study 2005-05
[538] 저널 The pain of being borderline: dysphoric states specific to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539] 저널 Characterizing affective instability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2-05
[540] 저널 Introduction to special issue: cognition and emo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5-09
[541] 문서
[542] 웹인용 What Is BPD: Symptoms http://www.borderlin[...] 2013-01-31
[543] 서적 Disordered Personalities Rapid Psychler Press
[544] 저널 Attachment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545] 저널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as predictors of 4-year romantic relationship dysfunction in young women: addressing issues of specificity https://archive.org/[...] 2000-08
[546] 웹인용 A BPD Brief http://new.borderlin[...] 2013-06-30
[547] 문서
[548] 저널 Personnalité borderline, automutilations et suicide: revue de la littérature 2008-10
[549] 간행물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elf-mutilation and suicide: literature review]" 2008-10
[550] 간행물 Physical and social pains in borderline disorder and neuroanatomical correlates: a systematic review 2014-05
[551] 저널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1-05-26
[552] 서적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Clinical Guid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553] 서적 Sometimes I Act Crazy. Living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Wiley & Sons
[554] 서적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Guide to Evidence-Based Practice The Guilford Press
[555] 저널 Reasons for suicide attempts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archive.org/[...] 2002-02
[556] 저널 A comparison of life events between suicidal adolescents with major depression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3-07
[557] 저널 A comparison of life events between suicidal adolescents with major depression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3-07
[558] 문서
[559] 문서
[560] 문서
[561]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disability 2011-04
[562] 저널 Genetic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stematic review and proposal of an integrative model. 2014-03
[563] 저널 Genetics of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0-03
[564] 저널 A twin study of personality disorders 2000
[565] 저널 Trauma, genes, and the neurobiology of personality disorders 2004-12
[566] 웹인용 Possible Genetic Cause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dentified http://www.scienceda[...] sciencedaily.com 2008-12-20
[567] 저널 Brain structure and func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link.springe[...] 2014-05-06
[568] 저널 Genome-wide analyses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2014-08
[569] 논문 Brain structure and func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2-10
[570] 논문 Brain structure and func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2-10
[571] 논문 Default mode network and frontolimbic gray matter abnormalities in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voxel-based meta-analysis 2016-10
[572] 문서 Chapman & Gratz 2007
[573] 문서 Chapman & Gratz 2007
[574] 문서 Chapman & Gratz 2007
[575]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childhood trauma: exploring the affected biological systems and mechanisms 2017-06
[576]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childhood trauma: exploring the affected biological systems and mechanisms 2017-06
[577] 논문 Th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and glucocorticoid receptor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997-06
[578] 서적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urvival Guide: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Living with BPD New Harbinger Publications 2007
[579] 서적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urvival Guide: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Living with BPD New Harbinger Publications 2007
[580] 간행물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Gender and Serotonin: Does Estrogen Play a Role? Nova Biomedical. Nova Science Publishers 2007
[581] 논문 Estrogen fluctuations, oral contraceptives and borderline personality 2003-08
[582] 논문 Child development and personality disorder 2008-09
[583] 서적 Trauma and recovery Basic Books 1992
[584] 논문 Axis One/Axis Two: A disordered borderline 2005-12
[585]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childhood trauma: evidence for a causal relationship 2009-02
[586] 웹사이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Understanding this challenging mental illness Mayo Clinic 2017-09-05
[587] 논문 Biparental failure in the childhood experiences of borderline patients 2000
[588] 논문 Biparental failure in the childhood experiences of borderline patients 2000
[589] 논문 Biparental failure in the childhood experiences of borderline patients 2000
[590] 간행물 Attachment and psychopathology in adulthood Guilford Press 1999
[591] 서적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J. Aronson 1985
[592] 논문 Thought sup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2005-09
[593] 문서 Chapman & Gratz 2007
[594] 논문 Neural correlates of negative emotionality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activation-likelihood-estimation meta-analysis 2013-01
[595] 논문 Neural correlates of negative emotionality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activation-likelihood-estimation meta-analysis 2013-01
[596] 논문 Neural correlates of emotion processing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9-06
[597] 논문 Rejection Sensitivity and Executive Control: Joint predictors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2008-02
[598] 논문 Rejection Sensitivity and Executive Control: Joint predictors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2008-02
[599] 논문 Rejection Sensitivity and Executive Control: Joint predictors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2008-02
[600] 논문 Impaired working memory and normal sustained attention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2-12
[601] 논문 Etiolog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disentangling the contributions of intercorrelated antecedents 2005-01
[602]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the role of self-discrepancies and self-complexity 2006-09
[603] 논문 Thought sup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2005-09
[604]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thought suppression and symptom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9-02
[605] 논문 A biosocial developmental model of borderline personality: Elaborating and extending linehan's theory 2009
[606] 웹인용 Personality Disorders: Tests and Diagnosis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13-06-13
[607] 간행물
[608] 간행물
[609] 간행물
[610] 웹사이트 Emotionally unstable personality disorder http://bpdfamily.com[...] World Health Organization
[611] 서적 Psychology: The Science of Behavior Pearson Canada
[612]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1-01
[613] 웹사이트 CG78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NICE guideline null 2009-01-28
[614] 논문 Is hospitalization useful for suicidal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4-06
[615] 논문 Psychotherap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9-11
[616] 논문 Efficacy of Psychotherapies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4
[617] 논문 Psychotherapy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rogress and Remaining Challenges 2017-03
[618] 서적 Psychodynamic psychiatry in clinical practic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619] 논문 Clinical practic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1-05
[620] 논문 Psychological therapies for people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2-08
[621] 논문 Psychotherap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9-11
[622] 논문 An Exploration of Common Elements in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Mentalization Based Treatment and Transference Focused Psychotherapy in the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4-03-01
[623] 논문 An Exploration of Common Elements in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Mentalization Based Treatment and Transference Focused Psychotherapy in the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4-03-01
[624] 웹사이트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625] 논문 Psychotherap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9-11
[626] 논문 Clinical practic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1-05
[627] 논문 Two-yea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follow-up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vs therapy by experts for suicidal behaviors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6-07
[628] 논문 Effectiveness of different psychotherapy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0-02
[629] 논문 Psychotherap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09-11
[630] 논문 Effectiveness of different psychotherapy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0-02
[631] 논문 Special issue on mindfulness neuroscience 2013-01
[632] 논문 Mechanisms of white matter change induced by meditation training 2014
[633] 논문 Beyo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 mindful brain 2014-10
[634] 논문 Beyo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 mindful brain 2014-10
[635] 논문 A feasibility study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